-
-
왕의 투쟁 - 조선의 왕, 그 고독한 정치투쟁의 권력자
함규진 지음 / 페이퍼로드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왕의 투쟁』최근 역사열풍이라고 하지 않을수 없을만큼 역사에 대한 관심 많은 시절을 보내고 있다.
이 책은 그 역사중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들인 조선 왕들(세종,연산군,광해군,정조) 네 왕을 통해 죽을 때까지 투쟁해야하는 권력의 고독한 본질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왕의 투쟁』은 크게 아래와 같이 책을 설명하며 이끌어가고 있다.
사왕별곡四王別曲 - 성군에서 폭군까지, 지난한 정치 투쟁의 드라마
세종, 권력의 위임과 프로젝트형 업무관리로 대업을 완성하다
세종은 오랫동안 관찰하고 시험한 결과 믿을 수 있다고 여겨진 재상들에게 위임할 수 있는 행벙업무는 최대한 위임했다.위임하고도서도 함께 문제를 토의하고 고민하되 최종 결정은 재상들의 견해에 따르는 방식이었다.
또한 세종은 장영실, 박연, 김문, 정인지, 신숙주등에게는 그들에게 맞는 프로젝트형 업무관리로 대업을 완성했다.
연산군, 절대권력을 행사하다 측근에게마저 버림받다
실질적으로 연산군의 실정은 그가 한 일보다는 하지 안흔 일에 주로 연과되어 있다. 연산군의 실패는 정치적 실패였다.
조선조 최초로 원자가 궁궐에서 태어나 축복 받은 인물 이융, 즉 연산군은 왕의 아들로 태어나 세자가 되고 왕이 되었고 경제는 활발하고 문화는 융성했으며 정적도 없는 안정기에 접어든 왕조의 왕이었다.그는 세종이후 틀이 잡힌 성리학적 정치체제, 일반적인 경우보다 왕권을 심하게 제약하면서 임금이나 신하나 위선의 가면을 쓰고 행세하기를 강요하는 체제의 모순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뜯어고칠려고 했지만 너무 미숙하고 조급하여 그의 폭주는 대안 없는 도발에 그치고 말아 절대권력을 행사했지만 측근들에 의해 왕의 자리에서 물러날 수 밖에 없었다.
광해군, 안전을 최우선하다 나락에 떨어지다
18살의 나이에 임진왜란으로 인해 세자가 되고 '임시정부'를 운영했으며 변덕심한 아버지 선조,그리고 후궁들과 이복동생들 그리고 동복형 임해군,적통의 영창대군, 반대당파, 명나라 눈치를 보며 어찌보면 쟁취했다고 할 수 있는 왕의 자리. 실리외교를 펼쳤으나 동복형 임해군과 적통인 영창대군을 죽인 오명과 인목대비 유폐 그는 안전을 최우선했지만 그는 역사의 패배자 왕의 자리를 타의에 의해 뺏긴 임금으로 역사를 장식하고 있다.
정조, 개혁군주는 어떻게 전제군주가 되어 개혁에 실패하나
즉위와 함께 한 말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이 한마디로 정조의 자신감이 표현할 수 있다. 비록 왕위를 받았지만 노론일파가 정국을 운영하는 입장임에도 불구하는 정조가 이렇게 말할 수 있었던 것은 개혁군주로서의 자신감의 표현이지 않았을까?
정조는 인사권을 이용해서 신하들을 세련되게 다루었다. 각 벼슬의 재임기간만 보더라도 정조가 인사권을 이용한 실리정치를 얼마나 잘 이용했는지 절실하게 알 수 있다. 화성의 축조로 자신의 원대한 꿈을 이루려고 했던 정조는 갑작스런(?)승하와 함께 사라졌지만 그 후세의 우리들에게까지도 그 정신은 이어오고 있다.
왕 VS 왕 - 그 권력의 다양한 변주
조선왕들은 전제군주였지만 사실상으로는 신권과 왕권의 싸움의 연속에서 살았다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투쟁의 연속이었다.
"부국강병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정부가 도덕적이고 백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나라, 예의와 문화의 대국이야말로 진정으로 위대한 나라다"
어떤나라가 훌륭하고 백성이 행복하게 사는 나라인지 세종때의 임금과 신하가 합의함으로써 풀렸던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가 조선의 역사적 존재 이유가 되었다. 물론 적절히 수정,보완되어 왔다.
왕의 생애는 권력투쟁의 연속이었다.
강보에 싸여있을 때부터 암투의 대상이 되고 그가 보위를 이어받느냐 못 받느냐를 놓고 피바람이 불기도 했으며 즉위 후에도 안심할수 없는 투쟁의 연속이었던 것이다.
『왕의 투쟁』이 책의 4명의 왕의 이야기를 통해 그 고독한 정치투쟁의 권력자들의 삶을 이해하고 알 수 있게 되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