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이순원 지음 / 뿔(웅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의인법이라고 해야 될까? 이순원의 소설 『나무』의 첫 느낌이었다.
『나무』의 주 내용은 백 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비바람을 이겨 낸 할아버지나무(밤나무)와 이제 간신히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우기 시작한 어린 손자나무를 중심으로 다양한 나무들에 대한 이야기꽃이 핀다.
나무를 통해 훈훈한 정이 흘러 넘치는 이 책은 계절을 나며 겪는 손자나무의 다양한 성장의 경험과 할아버지나무가 들려주는 여러 나무들의 이야기는 현실을 이해하는 지혜, 미래를 준비하는 삶의 자세, 서로 다른 이웃과 함께하는 사랑의 마음, 자연과 더불어 나누는 삶 등을 담아내면서 훈훈한 감동의 선사하고 있다.
『나무』는 나에게 어떤 교훈을 줬을까? 가볍게 읽은 나무를 덮고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나무를 사랑하는 사람, 더 큰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 자연과 더불어 함께하는 삶
민둥산에 밤을 심은 어린 신랑과 어린 신부가 없었다면 밤나무로 울창한 숲은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어린 밤나무가 어른 나무가 되기 위한 인내와 지혜의 성장통
“저를 위해 할아버지께선 수십 개도 넘는 밤송이가 달린 가지를 부러뜨리셨어요.”
“그것은 내 몸의 큰 가지 하나보다 앞으로 네 몸의 작은 가지 하나가 더 소중하기 때문이란다.”
위의 대화를 통하여 할아버지나무가 손자나무에게 알려주는 인생의 지혜와 삶의 태도는 어린이가 부모를 통해 배우는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연에 대한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내는 맑고 순수한 정경
작가는 초라해 보이는 냉이꽃부터 천 년을 사는 소나무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살면서 놓치기 쉬운 자연의 숭고한 아름다움이 이순원 특유의 맑고 담백한 언어로 고스란히 녹아 있는 마치 풍경화를 보는 듯한 설명으로 자연을 느끼게 한다.
나무들의 이야기를 통한 자연의 순리
『나무』에는 밤나무를 중심으로 매화나무, 앵두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대추나무, 산수유나무, 닥나무 등의 이야기가 곳곳에 잘 심어져 있다. 우리가 항상 보고 자란 나무들에 관한 생장 이야기가 재미있고 정겹게 그려져 있어 자연의 순리를 나무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나무의 뿌리 찾기 과정을 통한 자아와 가족의 발견
작가는 ‘나무’를 통해 세상 모든 살아 있는 생명의 근원에 대해 살포시 풀어놓음으로써 인간을 비롯한 생명의 신비와 존엄의 가치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만든다.
손자나무가 자신이 어디에서 왔는지, 어떤 밤알에서 작은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게 되었는지, 그리고 자신의 사명이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과정을 통해 작은 꽃나무 하나라도 그 근원이 반드시 있음과 각각의 객체에게 존재의미가 있음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줄기나 가지가 목질로 된 여러해살이 식물을 통틀어 우리는 흔히 나무라고 말한다.
우리 주위의 수많은 나무들이 즐비한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그냥 있으려니 있겠지 하고 지나칠수도 있었던 나무에 대한 고마움이라고 할까. 그런 생각들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어 좋았던것 같다.
『나무』이 책은 우리에게 가르쳐 준다. 나무와 사람이 공존하며 함께 쌓아가는 세월은 세상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나가는 초석이며 자연과 사람이 만들어 내는 사랑의 본질이다. 사람이 나무를 닮아가고 나무가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모습은 독자들을 따뜻한 향수와 잔잔한 감동으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