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산드라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41
크리스타 볼프 지음, 한미희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5월
평점 :
이 책을 읽기 위해서, 먼저 ‘앞선 독서’가 이루어져야 할 책이 네 권 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 베르길리우스가 쓴 <아이네이스>, 마지막으로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이아>. 감잡히시지? 옙. 트로이 전쟁과 트로이 멸망 후의 모습을 잘 알고 있어야 이 책을 그나마 쉽게 읽을 수 있다.
미케네의 왕 아가멤논을 총 대장으로 하는 그리스 연합군이, 아가멤논의 친동생 메넬라오스의 처 헬레네를 트로이 왕 프리아모스의 잘 생긴 서자 파리스가 달싹 업어간 걸 다시 찾아오기 위해, 대군을 모아 수천 척의 무장 함대를 이끌고 출발하려 했는데, 아, 글쎄 바람이 불어야 말이지. 이때 트로이 출신의 배신자 칼카스란 이름의 예언자가 등장해 두 가지 예언을 하는 바, 첫째가 아킬레우스를 출전시키지 못하면 절대 이길 수 없다는 거, 둘째가 바람을 얻기 위해 아가멤논이 가장 사랑하는 큰 딸 이피게네이아를 희생 제물로 바쳐야 한다는 것. 아킬레우스는 영화 <트로이> 보신 분은 다 아시겠지만 하고 한 날 주지육림에 빠져 있던 걸, 친한 친구이자 원정 같이 귀찮은 일엔 절대로 빠지고 싶어 했으나 결국 참여하게 된 오디세우스를 보내 참전시키게 한다. 오디세우스 입장에서 가만 생각해보니 너나 나나 트로이까지 가서 쌈박질로 날 새우기 싫은 건 마찬가진데, 이제 자신은 빼도 박도 못하고 배를 타야하는 신세가 되니 아킬레우스 혼자 두고 가기가 진짜 심술이 났던 참이었다. 이거 내 말이 아니라, <카산드라>에서 작가 크리스타 볼프가 정말로 이렇게 써 놓은 거다. 근데 이해하시지? 오디세우스의 심정. 충분히 공감한다. 그래서 첫 번째 조건은 만족시켰고, 두 번째, 뜨거운 심장을 가진 사람으로서 얼굴 예쁘고 몸매 빵빵한 이피게네이아를 어떻게 죽여, 그 몸을 태움으로써 희생공물로 바치겠느냐고. 더구나 아가멤논이 이따위 미신을 정말로 믿었다고 믿으셔? 천만의 말씀. 문제는 다른 왕들이 전부 가기 싫어 뭉기적거리고 있으면서 그걸 핑계로 닻을 올리지 않고 있다는 사실. 그리하여 군대는 전부 불러놓았지, 그 많은 군대를 먹여 살리려면 아무래도 총대장인 아가멤논의 나라 미케네 살림이 날이 갈수록 거덜이 날 거 같으니 울며 겨자 먹는 셈치고, 어여쁘고 몸매 잘 빠진 이피게네이아를 정말로 죽여 불사르고 만다. 이제 출항을 막고 있던 건 다 사라지고 뿔 나팔을 길게 불면서 수 천 척의 무장 함대가 끝도 보이지 않게 줄을 이어 헬레스폰토스 해협을 향해 진군하기에 이르는데, 미케네 언덕 위에서 장엄한 함정의 대열을 피눈물을 흘리며 바라보고 있던 여인이 있었으니, 아가멤논의 처이자 죽은 이피게네이아의 생모인 클리타임네스트라. 피도 눈물도 없는 아가멤논, 제발 살아서 돌아와라. 단칼에 네 머리통을 뽀개버리겠노라. 이를 뽀독뽀독 갈며 내려보고 있던 걸 아가멤논은 조금도 몰랐던 거디었다.
트로이 전쟁 과정은 <일리아드> 참조하시라는 뜻에서 완전히 넘어가고,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