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키스슈타인
지넷 윈터슨 지음, 아밀 옮김 / 민음사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한 달 만에 다시 지넷 윈터슨을 읽었다. 그만큼 이이의 데뷔작품인 <오렌지만이 과일은 아니다>를 재미있게 읽었다는 뜻일 수도 있다. <프랭키스슈타인>에서도 윈터슨은, 물론 역자 김지현의 역할도 컸겠지만, 특유의 재치있고 자신있고 매력적인 문장을 과시한다. 제목 <프랭키스슈타인>을 발음하면 대번에 알아차릴 수 있듯이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변주한 작품. 어린 시절부터 하도 많은 아동잡지와 만화책과 영화와 하다못해 상품광고를 통해 널리 알려지는 바람에 오히려 훨씬 나이가 들어 원작을 읽게 만드는 <프랑켄슈타인>. 나도 50대 중반에야 겨우 읽었다. 그리고 깜짝 놀랐다. 생명의 창조와 연속성에 관한 담론으로 당당하게 명작의 반열에 올라야 마땅한 작품이, 단지 이마에 나사못이 박힌 우스꽝스럽기까지 한 괴물로만 알려질 수 있다니. 책을 읽은 후에 비로소 <프랑켄슈타인>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더니 참으로 다양한 국적의 작가들이 이 작품을 변용한 것이 눈에 들어왔다.

  <프랭키스슈타인>은 두 이야기로 나뉜다. 원작자 메리 셸리가 <프랑켄슈타인>을 쓰게 되는 1816년 우기의 스위스 레만호수부터 노년의 메리 셸리가 바이런의 딸 에이더 러브레이스 백작부인 가의 파티장에 참석해 에이더와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까지 하나의 줄기고, 메리 셸리의 작품을 현대적 시각으로 변주한 왕립학회 회원이자 대학교수 빅터 스타인(빅토르 프랑켄슈타인 박사), 의사이자 웰컴 트레이드 소속인 라이 셸리(메리 셸리) 박사, AI를 장착한 리얼 돌 대량 생산자 론 로드(바이런 경), 국제 기술박람회 로봇공학 분야 안내 담당자이자 검은 피부의 미인 클레어(메리 셸리의 이복동생이자 바이런의 정부 클레어 클레어몬트), 잡지 "배니티 페어"의 기자 폴리 D(바이런의 주치의 폴리도리) 등이 등장하여 인간의 뇌를 스캔해 컴퓨터에 저장해 영생을 준비하는 다른 하나의 줄기로 구성된다.

  여기에 작가 지넷 윈터슨의 성정체성이 포함된다. 자전적 작품 <오렌지만이...>에서 스스로 밝혔듯이 윈터슨은 애초부터 레즈비언이다. 이 작품에서는 여성으로 삶을 시작했지만 젠더와 상관없는 존재로 살고자 유방 절제를 한 세미 트랜스젠더로 살고 있다. 즉 거의 화자 급인 라이 셸러는 스스로 원한 여성의 생식기를 가지고 있는 남성 외모의 존재로 살면서, 작품에선 남성 빅터 스타인 교수하고만 잠자리를 한다. 계속해서 테스토스테론 주사를 투여해야 하지만 여전히 여성적 성감을 유지하며, 외모 때문에 남성 화장실을 사용하다가 술에 취한 거한에게 강간을 당하고는 2차 가해에 대한 우려 때문에 경찰에 신고조차 못하고 어둠 속에서 눈물을 흘리는 캐릭터. 라이 셸리의 '라이'는 그래서 라이언의 줄임말이 아니라 '메리'를 변형한 것.

  메리가 살면서 시인 남편 셸리와 야반도주해 이탈리아로 날아가 결혼을 하고, 아이 셋을 잃는 참척을 당하는 와중에도 셸리는 여전히 바람을 피우며, 이복 동생 클레어는 남편의 친구 바이런 경의 딸을 출산한다. 바이런 경은 아이를 수녀원에 맡겨 버려 죽게 하는 등, 19세기 초반의 극심했던 가부장제, 남성중심주의를 비판하는 페미니즘적 시각을 곳곳에서 보여주기도 한다.


  첫번째 이야기 줄기는 <프랑켄슈타인>이 탄생하게 된 배경부터 시작한다. 1816년 여름, 스위스 레만 호수 근처의 저택 두 채에 세를 든 영국인들. 웅장한 디오다티 저택에는 당대 최고의 시인인 바이런 경과 그의 주치의 폴리도리, 메리 셸리의 이복동생 클레어 클레어몬트가 사용하고, 비탈을 따라 아래쪽 작고 매력적인 저택엔 셸리 부부가 세를 들었다. 남자들은 두 명의 여성을 공유하는 악마 숭배자이자 색정광 무리라는 소문이 나서 조금 떨어진 호텔 테라스에서 망원경을 든 숙박인들이 저택을 훔쳐보는 일도 잦았다. 그러거나 말거나 자기들끼리 재미있게 지내던 무리에게 드디어 자그마한 불운이 덮쳤으니 내리 7일 동안 무심한 듯 비가 내려 집안에서 꼼짝 못하고 지내야 했던 것. 지루함을 견디지 못한 바이런 무리가 포도주를 마셔가며 어떻게 권태를 이겨낼 수 있을까 논의를 하다가 충동적으로 초자연적인 이야기를 주제로 소설을 써보자고 제안을 했다. 의사 폴리도리는 귀신과 뱀파이어 가운데 고민을 하다가 뱀파이어 이야기를 쓰기로 작정을 했고, 메리 셸리는 죽은 개구리 뒷다리에 전극을 연결하고 전기를 주입하면 부르르 경련하는 것에 착안해 죽은 생명체에 전기 충격을 주면 되살릴 수 있다는 이론, 갈바니즘을 떠올린다. 메리 셸리는 갈바니즘과 관계없이 어떤 수단을 통해 죽은 사람이 다시 돌아올 수 있다면 시체의 영혼까지 돌아올 수 있을까, 궁금해하다가 여러 시신들의 조각을 이어 붙여 괴물을 창조한 빅토르 프랑켄슈타인 박사를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을 쓰기에 이른다.

  두번째 이야기는 라이 셸리와 빅터 스타인 박사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트랜스젠더 라이 셸리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열린 기술박람회에 스타인 교수의 초청으로 참석을 했다가, 도착 첫날 첫번째 방문지에서 AI를 장착한 리얼돌, 작품 속에서는 XX-봇 공장을 고향 웨일스에 짓는 게 꿈인 청년 론 로드를 그의 부스에서 만난다. 이 론 로드는 직업이 직업인 만큼 우리 인체에서 장딴지, 허벅지, 날개죽지, 어깨죽지 말고 '지'자로 끝나는 두 단어를 매우매우 자연스럽게, 자주 사용하는 바람에, 하긴 그 단어가 비속어도 아니고 엄연히 널리 사용하기를 권장하는 표준어이기는 하지만 독자로 하여금 실소를 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다른 내용도 아니고 사람의 두뇌, 또는 영혼을 스캔해서 AI화 해 컴퓨터에 저장하는 이야기에, 나는 이미 식상을 했던 터. 물론 지넷 윈터슨의 필력이 여태 읽은 비슷한 내용의 작품들과 분명하게 차별이 되고 이야기도 더욱 풍부하더라도 독자인 내가 그렇다는데 이걸 어쩌겠는가. 물론 중병에 걸린 부자들이 심정지 상태이나 아직 뇌는 살아 있는 법적 사망 상태에서 급속 냉동해 시신을 보존했다가 먼 미래에 치료방법을 개발한 후에 해동해 생명을 이어가는 것도 포함하지만, 미안하다, 나는 영생에 "전혀" 관심이 없고, 윤회를 믿지 않으며, 영혼이란 건 그저 뇌 안에서 벌어지는 화학작용에 불과하다고 확신하는 데다가 심지어 그렇게 오래 살고 싶지도 않은 인간이라 별로 흥미가 돋지 않았다.


  그러나 작품은 꽤 재미있다. 이 독후감을 읽고 괜히 <프랭키스슈타인>의 일독을 머뭇거릴 필요는 없다. <프랭키스슈타인>이 재수가 없어 나 같은 독자를 만난 것일 뿐이니 이 독후감을 읽는 분들께서는 각자 알아서 판단하시기 바란다. 뭐 사는 게 다 그런 거다. 결국 책임은 당신이 지는 거. 이쯤에서 나는 ㅋㅋㅋ 웃고 싶어진다. 먼저 읽은 자의 여유로움이란. ㅋㅋㅋ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3-10-31 0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저는 읽어보고 싶습니다. 훗. 저는 영생에 관심있는 자..

Falstaff 2023-10-31 10:14   좋아요 0 | URL
앗, 그러십니까! 읽어보셔야지요. 되게 재미있게 읽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