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 프롬 - 개정판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74
이디스 워튼 지음, 손영미 옮김 / 문예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순수의 시대>, <기쁨의 집>을 읽고 아이고, 19세기 말, 20세기 초 미국 북동부 와스프라는 인종들의 허위의식에 학을 떼고 다시는 읽지 않겠다고 다짐을 했으면서도 기어이 한 번 더 이디스 워튼을 읽은 이유는 바로 전에 독후감을 쓴 프랭크 노리스를 읽은 사연과 같거나 비슷하다. 미치너의 <소설> 속에서 미국 문학의 앞 세대에 우러러 찬미해야 할 작가 네 명 가운데 한 명으로 이디스 워튼을 선택해서.
 <이선 프롬>. 사람 이름이다. Ethan Frome. 이름 뒤에다가 수산기水酸基 OH를 붙이면 ’Ethanol' 즉 화학식으로 C2H5OH, 에탄올, 천국으로 가는 가장 저렴한 액체를 우리는 이렇게 부르고, 나는 순수 에탄올에다가 에탄올의 세 배에 해당하는 설탕물을 섞은 액체, 즉 25도짜리 희석식 진로소주를 대단히 사랑한다. 에탄올이 “혀끝을 스치면, 온 몸이 짜르르르” 이게 1970년대 초 중반까지 흑백 TV를 타고 흘러나왔던 CM 광고노래였다. 아마 “진로 한 잔 하면, 어허 기분이 좋아요, 진로 파라다이스!”하면서 끝났지 싶다.
 아 또 삼천포.
 만일 내가 <이선 프롬>을 첫 이디스 워튼으로 읽었으면 그이를 지금처럼 우습게 알 것 같지는 않다. 워튼이 살던 매사추세츠 주, 소위 뉴잉글랜드 지역의 산골을 배경으로, 한 불운한 부부와 이들의 틈에 끼어든 젊은 여인이 만들어낸 더 큰 불행에 관한 이야기.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가 매사추세츠 주의 스타크필드 지역의 한 발전소에 파견 왔다가 직원들 파업 때문에 겨울 내내 북풍한설 몰아치는 뉴잉글랜드에 발이 묶여, 주워들은 이야기를 적은 형식이다. 역시 스타크필드. 원래부터 스타크 가문이 터를 잡은 동네 윈터펠이 이 스타크필드에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 확인한 바는 없다.
 그럼 이선 프롬의 집안 얘기를 좀 해보자.
 이선 프롬이 십대 시절, 아버지가 오래 아팠다. 그래 어머니와 이선이 정성을 바쳐 간병을 했지만 아버지는 집안의 재산만 거덜내고, 공과대학 다니던 이선의 대학 공부도 작파시키고 그만 숟가락을 놓아 버리고 만다. 그러자마자 이번엔 또 어머니가 비시시 쓰러져버린다. 이제 이선 혼자 집안일, 목재소, 농장까지 다 도맡아 해야 하는 처지가 되니 도무지 여력이 없어서 어머니의 친척, 이선의 사촌 가운데 ‘지나’라는 이름의 외로운 아이를 골라 집에 데려와 가사일도 시키고 간병도 시키면서 함께 지내게 된다. 하지만 어머니도 그리 오래 견디지 못하고 남편 따라 먼 길을 가버리니 이제 천애고아가 된 이선. 지나마저 떠나려 짐을 싸는데, 갑자기 세상에 자기 혼자 남아버렸다는 황망함과 상실감에 푹 젖어 그리 애정도 깊지 않은 지나와 불쑥 결혼을 해버린다. 그리고 결혼 7년차. 이제 이선의 나이 스물여덟. 아내 지나는 서른다섯. 벌써 몇 년 전부터 지나의 몸에 이상현상이 생겨 시름시름 앓아 집안 꼴이 말도 아닌 처지. 둘 사이에 아이도 없고, 건강을 망친 지나는 이도 몽땅 빠져 밤이면 물을 채운 컵에 틀니를 담근 채로 침상에 올라야 하는데, 이제 나이 스물여덟, 새벽마다 하늘을 향해 불쑥 솟아오르는 정념을 날마다 힘겹게 달래야 했던 이선 입장에서 그게 쉬운 일이겠느냐 이거다.
 그래 1년 전부터 아내 지나 쪽 친척으로 ‘매티’라는 사고무친의 아가씨를 불러 마치 몇 년 전 지나처럼 가사일과 간병을 시킨다. 그것이 화자인 ‘나’, 발전소 엔지니어가 눈의 나라 스타크필드에 머물기 24년 전 벌어진 일이다. 벌써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갈지 감이 잡히시리라 믿는다. 아이 없는 가정. 이가 몽땅 빠진 병중의 늙은 아내와, 젊은 남편. 반 간병인, 반 하녀 역으로 들어온 아름답고 젊은 친척 아가씨. 병, 특별히 오랜 병은 환자를 예민하고 공격적으로 만든다. 더구나 자신이 남편의 어머니를 그리 정성들여 병구완을 해주고 살림도 꾸며주었건만, 이제 자신이 병이 들고 늙어버리니 어쩌다가 한 지붕 아래 살게 된 내 친척 동생에게 한눈을 파는 것처럼 보이는 남편을, 이걸 어찌할꼬. 남편과 매티의 눈에 이룰 수 없는 사랑이라는 눈물이 흐르는지 뻔히 알겠건만, 정작 내 눈에서 흐르는 피눈물을 어찌하여 그들은 알아주지 않을까. 여자 나이 35세면 이제 몸의 감각이 어떤 희열을 선물하는지 알게 되는 시기. 그러나 남편은 몇 년 째 같은 침상에 오르지 않고, 매사에 활기차게 재잘거리는 매티를 바라보는 눈을 통해 애절한 갈증의 모스 부호를 쏘아대고 있으니.
 정말?
 아니, 내가 보기에 그렇다는 것이지.
 진짜 이디스 워튼을 다시 보게 된 거냐고? 그렇다. 왜 그런지는 이 독후감에서는 얘기 못하겠다. 왜냐하면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홱 돌아버린 것은 이들의 삼각관계의 비극이 무르익어 드디어 사고를 치는 본문이 아니라, 이제 24년이 다 지나 어느덧 이선이 52세, 아내 지나가 59세가 된 지금, 이들의 본질을 알아내고서다. 즉 에필로그가 죽여주기 때문이다. 근데 내가 어떻게 그걸 말해주냐고. 안 그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19-10-07 13: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작품이 이디스 워튼 최고의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Falstaff 2019-10-07 13:54   좋아요 0 | URL
ㅎㅎ 저도 아직까지는 그렇습니다. 앞으로 더 읽어볼 생각이 지금은 없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