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편의 단편소설을 실은 <순박한 마음>을 다 읽고 책 끝의 '옮긴이의 말'을 보니까, 놀라워라, 이런 문장이 있다.
“플로베르의 작품은 초기 습작을 제외하면 여섯 권에 지나지 않는다.”
얼른 내가 읽은 플로베르를 세어봤다. 이 <순박한 마음>, 책의 앞날개에 쓰인 대로 원제목이 <세 가지 이야기>가 여섯 번째 플로베르였다. 초기 습작을 제외한 모든 작품을 다 읽었다는 말씀. 책의 발간 순으로(위키피디아 참고) 하면 이렇다.
<보바리 부인> 1857
<살람보> 1862
<감정교육> 1869
<성 앙투안느의 유혹> 1874
<세 가지 이야기> 1877
<부바르와 페퀴셰> 1881
<세 가지 이야기>, 우리 제목으로 <순박한 마음>이란 책에 (사실 단편집은 『순박한 마음』, 해당 작품은 <순박한 마음>, 이렇게 써야 하는데 귀찮아서 그냥 막 쓸 테니 알아서 읽어주시면 좋겠는바) 마지막 이야기에 <헤로디아>가 나온다. 그러하다. 오스카 와일드가 <살로메>를 1893년에(초연은 96년에) 냈으니 와일드보다 16년 빨리 헤로디아의 친 딸 살로메의 ‘일곱 베일의 춤’을 만든 셈이다. 뭐 꼭 ‘일곱 베일의 춤’이 아니면 어떤가. 춤을 췄고, 의붓아버지가 의붓딸이 춤추는 모습에 미쳐서 자기 재산의 절반과 나라 땅의 절반을 뚝 떼 주겠다고 하는 거, 그렇지만 살로메는 쟁반 위에 요카난의 머리를 담아 달라고 땡깡을 부리는 거까지 같으면 그냥 와일드보다 16년 앞섰다고 해도 무방하지 뭐.
이 <헤로디아>는 쥘 마스네가, 역시 이 책에 실린 <구호성자 쥘리앵의 전설>은 카미유 에르롱쥐Camille Erlanger가, <보바리 부인>은 엠마누엘 봉드빌Emmanuel Bondeville이, <살람보>는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가 미완성 오페라로 만들었고, <보바리 부인>은 무려 8번에 걸쳐 영화로 만들어졌단다. 책을 겨우 여섯 권 낸 작가로는 진짜 대단한 성과라고 해야 하겠다. 지금 같으면 판권만 가지고도 한 평생 즐기면서 살기에 충분하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