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을 정치인들은 매우 민감하게 생각한다. 그도 그럴 것이 누구나 경험하는 일이겠지만 추석 명절 온가족이 둘러 앉아 나누는 이야기 속에 민심이란 것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작게는 집안 대소사에서 크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온갖 이야기들이 두런두런 나눠지는 장(場)이 바로 추석 밥상머리 아닌가. 이번 추석 차례 준비를 하면서 어쩐 일로 둘째 숙부가 도서출판 "시공사(時空社)" 이야기를 꺼냈다. 가봤는데 생각보다 규모가 작았다는 것이다. 시공사가 독서인은 물론 일반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진 까닭은 이 출판사가 좋은 책을 널리 펴녀 두루 인간세계를 불밝히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무엇보다 시공사가 널리 알려진 것은 이 출판사의 사장 '전재국'이란 인물 때문이다. 그리고 그가 전두환의 맏아들인 까닭이다.
 
시공사는 지난 1990년 8월 17일에 설립되었다. 설립은 90년에 되었으나 실제 출발은 한 해 전인 1989년 2월에 "스테레오 사운드"라는 일본의 오디오 전문 계간지 "스테레오 사운드"의 한국 번역판을 출간하면서 시작된다. 1990년 8월 현재의 사명으로 명칭을 변경한 뒤 1991년 전재국 사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하면서 '시공사'는 우리 국내 출판역사상 유례가 없을 만큼 단시일 내에 엄청난 사세 확장을 이룩한다. 특히 '시공사'가 두드러진 흔적을 남긴 분야는 한국미술연구소와 연계하여 미술서적을 발행하면서 그동안 불모지에 가깝던 국내의 미술서적의 판도를 새롭게 열었고, 1997년부터는 '시공주니어'를 출판하는 한편, 무협지, 코믹스, 잡지 "까사리빙", "유행통신", "PC플레이어", "케이크", "기가스" 등등을 냈고, 프랑스 갈리마르 출판사의 "데쿠베르(Decouvertes:발견) 총서"를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라는 이름으로 출간하여 1999년 현재 100권 이상을  발간했다. 이외에도  현대 서구사상을 다룬 ‘로고스 총서’, 종교 입문서라 할 수 있는 ‘샴발라 총서’와 불교관련 시리즈로 ‘시공 불교경전’ 시리즈, ‘시공 불교 총서’를 비롯해 무협소설 분야의 ‘드래곤북스’, 추리소설 시리즈인 ‘시그마북스’, Sci-Fi와 판타지 전문의  ‘그리폰북스’, 예술 분야의 이론서 시리즈인 ‘시공 아트 시리즈’ 등을 펴냈다.

시공사의 성장은 눈부셨다. 1991년 첫 단행본으로 펴낸 "아랍과 이스라엘"이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이후 "펠리컨 브리프",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등 연속 베스트셀러를 기록했다. 특히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는 하루에 1만 권이 판매되는 진기록을 세우며 1998년에는 한해 135종의 책을 출간하여 최다 종수를 출판한 출판사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3년에는 해외 예술서적 전문 수입과 도소매를 목적으로 한 아티누스(Art In Us)를 이 해에 음악전문 출판사 "음악세계"를 만들었다. 이후 시공사는 도서판매체인점 "리브로"를 만들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종합 멀티미디어 문화사업체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웰빙 라이프 스타일 포탈인 "CASA", 인터넷 만화포탈인 "코믹 플러스", 여행전문 포탈인 '저스트고펜션' 등을 가지고 있다.

이 책 "옥스포드: 20세기 미술사전"은 시공사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책이다. 양장본 하드 커버에 매끄럽게 짜여진 편집, 1,800여 명에 달하는 전 세계 미술가의 생애와 활동은 물론 각종 미술사조와 그와 관련된 미술비평가, 미술관 등 무엇 하나 흠잡을 데 없이 잘 만들어진 책이다. 책도 튼튼하게 제본되었고, 오래도록 곁에 두고 볼 수 있는 좋은 미술 사전이다. 이 책은 무엇보다  '한국미술연구소'의 현대 미술사 전공자들이 번역에만 꼬박 1년, 교열·편집에 3년이란 긴 시간을 들여 꼼꼼하게 매만진 흔적이 묻어난다.

나는 시공사에서 출간된 책들을 꽤 많이 가지고 있다. 한 100여권쯤... 이쯤 되면 믿고 구입할 수 있는 좋은 출판사 중에 "시공사"에게 한 자리를 줄 법도 한데, 나는 "시공사" 책을 살 때 여전히 주눅들고, 어딘가 께름직하다. 나와 내 집 사람이 좋아하는 어떤 필자, 그는 정치적인 앙가주망을 했던 사람은 아니다. 그저 사람 좋은 대중적으로 읽기 편한 에세이들, 사람 만난 이야기들을 맛깔나게 쓸 줄 아는 그 정도 필자였다. 그 이가 이 출판사와 일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고 우리 부부는 얼굴을 마주보고 동시에 고개를 끄덕였었다. 그 이는 이렇게 말하면서 거절했다고 한다. "나는 정치적으로 어떤 성향을 가진 사람은 아니지만, 그 시절 내 친구들이 끌려가서 얻어맞고, 고문 당했던 생각을 하면 양심상 이곳과 일을 할 수는 없을 것 같다"고 그렇게 말했다고 전해 들었다.

어떤 이는 나의 이런 글을 보면서 연좌제도 아니고, 부모의 잘못을 자식에게 묻는다고 날 탓할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에겐 나도 할 말이 별로 없다. 어차피 나는 앞으로도 시공사에서 나온 책 중에 좋은 책, 나에게 필요한 책이 있다면 사서 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계속 께림직할 수밖에 없다. 20여만원의 예금 잔고를 가지고 골프를 치는 전직 대통령의 아들이 나날이 성장일변도인 멀티미디어 그룹의 총수로 있다는 것, 그 자금의 출처가 여전히 의심스러운 것, 그것은 설령 현재의 법으로, 혹은 현재 정권의 의지로 도저히 어찌해볼 수 없는 일이라 하더라도 나의 양심에는 여전히 께림직한 일로 남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일하는 이들에게야 미안한 마음이지만... 나로서도 어쩔 수 없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urblue 2004-09-30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감입니다.

비연 2004-09-30 1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동감..하지만 출판사의 어려운 현실들을 생각하면...그런 (출처가 의심스럽기 짝이 없는) 돈이 출판업계로 들어오는 것으로나마 위안을 삼아야 할런지도 모른다고..(일단 문화사업이니까) 생각되기도 하죠...문득문득. 그래선 안되겠지만...

바람구두 2004-09-30 1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사람들이 그러죠. 머리 하나는 기가 막히게 잘 썼다고요. 하지만 그 곳은 이미 출판만 하는 경지를 넘어섰다고들 하지요.

로드무비 2004-09-30 1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게 기세좋게 '오후'를 창간했다가 하루아침에 입을 씻는 걸 보면
시공사는 발행인의 자질이나 자금의 출처 문제뿐 아니라 여러 모로 신뢰할 수 없는
곳임이 분명합니다.

바람구두 2004-09-30 1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악세계"란 잡지 역시 그랬었다죠?

마태우스 2004-09-30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책사는 건 그냥 사겠지만, 내는 건 절대 거기서 안낸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물론거기서도 절 원하지 않겠지만요^^

바람구두 2004-09-30 1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마태님 같은 분이 너무 겸손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뜻만큼은 너무 잘 이해되네요.

sooninara 2004-09-30 14: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시공사 책은 믿음이 가는데..전씨 생각하면 책사주기가 찝찝하더군요^^
시공사가 외국책중에 베스트 셀러 될만한 책들은 무차별로 사들여서 국내 판권을 어마어마하게 올려 버렸다고 하더군요..그래서 그런지 재미있는 책이 많고..안살수가 없고..휴.....

starrysky 2004-09-30 16: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사실 그리폰 북스와 아티누스 때문에 시공사를 참 좋아라 하면서 '모든 걸 용서해줄 수 있어'라고 감히 외치던 부류였는데, 알라디너들께서 조곤조곤 말씀해주시는 걸 들으면 들을수록 참 께름직해요. 지난번 '오후' 사건 때도 한번 발칵 뒤집혔었고.. 오오, 어째야 하는 건지!!

깍두기 2004-09-30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공사는 싫지만 시공주니어와 그리폰북스를 포기할 순 없습니다. 흑흑...

바람구두 2004-09-30 16: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누가 포기하라던가요. 알고는 있자는 말이었습니다.
그리폰북스는 몰라도 시공주니어는 저희 집에도 많이 있군요. 흑흑.

. 2004-10-02 0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늘 깨림칙합니다. 내 인생에 너무다 중요한 책이다 싶은 책 정도라면 몰라도 시공사 책들은 안사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리브로에서 아무리 싸게 파는 기획전이 있어도 얼씬도 하지 않습니다. 더러운데 쓰는 것 보다 낫지 않느냐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들로 인해 생의 흐름이 변해 버린 이들을 알며...또한 피의 외침들을 외면할 수가 없습니다. 적어도 전두환 일가가 선고받은 벌금이라도 내야한다고 봅니다. 그런데 여유돈이 29만원이라는 사람하고 무슨 대화가 된답니까

비로그인 2004-10-01 1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뭐, 80년대부터 미국싫다고 코카콜라안먹으면서 지내는 사람도 아직까지 있긴 있지요.
저렇게까지 살아야할까도 싶지만, 그렇게라도 안살면 안되겠다 싶을 적도 솔직히 있지요.

저두 리브로와 시공사가 그래서 싫지요.
흠... 듣자하니 전재국은 예술적 교양이 풍부한 사람이라고 하더군요.
그런 역사를 알고 있는 혹자도 그런 죄와 이런 감각은 분리해서 봐야한다고 하더군요.
감각에 대해 인정할 수 있겠지만, 그 말 때문에 어찌도 화가 나는지...
여하튼
만약에 사실이라면, 그건 결핍된 교양이라고 할 수 있지요.
자신의 경제적 토대가 아비가 만든 피의 역사라는 것을 무시한다면...
저는 연좌제는 아니더라도...

지금 이 시대의 지배층의 2세들이 자신의 출신성분과 경제적 토대가 어디서 비롯됐는가 정도는 알고 그것으로 출세를 하더라도 도덕적인 부담감, 죄의식 정도를 지닐 수 있도록 그들에게나 그들의 출세를 보는 사람에게나 사회적 교육이 가능한 사회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봅니다.

제때 과거청산이 안됐으니, 잘못한 자는 잘못을 뉘우쳐야했으나, 생존투쟁에서 살아남은 자의 자식이 아비의 과거와 무슨 관련이 있겠는가고 묻겠지만 당신을 교육시킨 아비의 재산이 누구의 것이겠는가?는 평생 한번이라도 자문자답하게 만들어줘야지요.

저는 시공사 시리즈의 감각과 질은 인정하지만 되도록 안사고 살 책이 있으면 헌책으로만 삽니다. 피로 쌓은 권력과 자본이 미래의 문화자본, 문화권력으로 둔갑하는 걸 도와줄 수는 없다 아입니꺼?

이런 바램과는 달리 비약과 성장을 거듭하지요.

좋은 세상입니다.
친일파, 쫓겨내려온 (미 남부 보수교회로부터 내림받은) 기독교 지주 우익들,그들을 철저히 이용한 이승만과 그 정치일당들, 다시한번 친일파처단이 가능할 뻔 했을 때 그들을 비호했던 그걸 혁명이라고 이름지어 역사로 길이 남기려했던 박정희세력. 그런 비굴의 역사를 딛고 빨갱이라 몰아쳐 정권안정의 기회를 다져간 피의 전두환... 이들에 엉겨붙어 목숨과 재산을 부지하는 꼴통보수들, 이런 역사를 무시하면서 자신의 안녕과 출세만 가능하다면 굽신거렸던 각종지식인들, 법조인들... 이런 역사와 사회를 이용하여 재산증식에 급급했던 무식한 졸부들... 이 잘 살고 있는 아직도 '좋은' 세상입니다. 이런 좋은 세상에서 잘 살고 있는 당신들한테, 재산몰수나, 능지처참이나, 혁명이나 사형같은 게 아닌, 단지 죄책감 한번 지녀보는 게 어떻슈? 하고 묻는 것조차도 그 썩어빠질 개혁이라면

이게 몰상식이고 비상식이지 어디 상식이 있는 사회랍니까?

그들이 버전업해서, 신자유주의 세력으로 세대물림하고, 문화권력으로 증식하고, 다시 이 나라의 지배층으로 도덕성과 정통성을 부르짖을 때,

그들을 비난하는 자들이 고작 노블리스 오블리제 따위를 노래할 때,

대한민국은 무한히 발전, 성장 잘 하겠지요.

나는 이 나라에 그것도 국가구성원인아이들까지 낳아주며 오늘도 '무사히' 애국 잘 하고 있습니다. 젠장할...

난 쪽팔리지 않는 나라에서 소박하게 잘 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