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인간(Human)

질문1-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질문2-꿈은 필요한가?
질문3-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까?
질문4-지금의 나는 내 과거의 총합인가?
질문5-관용의 정신에도 비관용이 내포되어 있는가?
질문6-사랑이 의무일 수 있는가?
질문7-행복은 단지 한순간 스치고 지나가는 것인가?
질문8-타인을 존경한다는 것은 일체의 열정을 배제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질문9-죽음은 인간에게서 일체의 존재 의미를 박탈해 가는가?
질문10-우리는 자기 자신에게 거짓말을 할 수 있나?
질문11-행복은 인간에게 도달 불가능한 것인가?

2장 인문학(Humanities)

질문1-우리가 하고 있는 말에는 우리 자신이 의식하고있는 것만이 담기는가?
질문2-철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질문3-철학자는 과학자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질문4-역사가는 객관적일 수 있는가?
질문5-역사학자가 기억력만 의존해도 좋은가?
질문6-역사는 인간에게 오는 것인가 아니면 인간에 의해 오는 것인가?
질문7-감각을 믿을 수 있는가?
질문8-재화만이 교환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질문9-인문학은 인간을 예견 가능한 존재로 파악하는가?
질문10-인류가 한 가지 언어만을 말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3장 예술(Arts)

질문1-예술 작품은 반드시 아름다운가?
질문2-예술없이 아름다움에 대하여 말할 수 있는가?
질문3-예술 작품의 복제는 그 작품에 해를 끼치는 일인가?
질문4-예술 작품은 모두 인간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가?
질문5-예술이 인간과 현실과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

4장 과학(Sciences)

질문1-생물학적 지식은 일체의 유기체를 기계로만 여기기를 요구하는가?
질문2-우리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질문3-계산, 그것은 사유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
질문4-무의식에 대한 과학은 가능한가?
질문5-오류는 진리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질문6-이론의 가치는 실제적 효용가치에 따라 가늠되는가?
질문7-과학의 용도는 어디에 있는가?
질문8-현실이 수학적 법칙에 따른다고 할 수 있는가?
질문9-기술이 인간조건을 바꿀 수 있는가?
질문10-지식은 종교적인 것이든 비종교적인 것이든 일체의 믿음을 배제하는가?
질문11-자연을 모델로 삼는 것이 어느 분야에서 가장 적합한가?

5장 정치와 권리(Politics&Rights)

질문1-권리를 수호한다는 것과 이익을 옹호한다는 것은 같은 뜻인가?
질문2-자유는 주어지는 것인가 아니면 싸워서 획득해야 하는 것인가?
질문3-법에 복종하지 않는 행동도 이성적인 행동일 수 있을까?
질문4-여론이 정권을 이끌 수 있는가?
질문5-의무를 다하지 않고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가?
질문6-노동은 욕구 충족의 수단에 불구한가?
질문7- 정의의 요구와 자유의 요구는 구별될 수 있는가?
질문8-노동은 도덕적 가치를 지니는가?
질문9-자유를 두려워해야 하나?
질문10-유토피아는 한낱 꿈일 뿐인가?
질문11-국가는 개인의 적인가?
질문12-어디에서 정신의 자유를 알아차릴 수 있나?
질문13-권력 남용은 불가피한 것인가?
질문14-다름은 곧 불평등을 의미하는 것인가?
질문15-노동은 종속적일 따름인가?
질문16-평화와 불의가 함께 갈 수 있나?

6장 윤리(Ethics)

질문1-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반드시 자신의 욕망과 싸운다는 것을 뜻하는가 ?
질문2-우리는 좋다고 하는 것만을 바라는가?
질문3-의무를 다하는 것만으로 충분한가?
질문4-무엇을 비인간적인 행위라고 하는가?
질문5-일시적이고 순간적인 것에도 가치가 존재하는가?
질문6-무엇이 내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 지를 말해 주는가?
질문7-우리는 정념을 찬양할 수 있는가?
질문8-종교적 믿음을 가지는 것은 이성을 포기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질문9-정열은 우리의 의무 이행을 방해하는가?
질문10-진실에 저항할 수 있는가?
질문11-진리가 우리 마음을 불편하게 할 때 진리 대신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 환상을 좇아도 좋은가?
-------------------------------------------------------
인터넷에 떠도는 걸 긁어왔다. 프랑스 고등학생들의 졸업시험 문제라고 떠돌아다니는 건데, 정말로 이걸 시험으로 치르고, 그 결과로 대학진학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작위적으로 만든 것 같지는 않다. 내용이 충실하기 때문이다. 심심풀이로 잠시 들여다보았는데 심심풀이 삼을 정도는 아니다. ^^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8-04-01 1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고 <세계의 교양을 읽는다>(휴머니스트) 목록인거 같아요. 1,2,3,4 편이 있어요.

바람구두 2008-04-02 10:16   좋아요 0 | URL
1권만 사서 보다가 말아서요.
아프님의 봄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요? 흐흐

드팀전 2008-04-01 1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 예전에 바깔로레아 책이 인기있다해서 서점가서 보고 정말 충격받았다...
여기에 대해서 나는 몇 줄을 쓸 수 있을까 하는 생각때문에...
알라딘에서도 각 질문에 대한 참고 자료 도움 없이 A4 한장 정도 체계적으로 써넣을 사람 몇 없어 보인다...

바람구두 2008-04-02 10:17   좋아요 0 | URL
몇 줄 쓰는 거야 뭐 그리 어려운가?
문제는 그걸 자기완결적인 논리를 갖추고 쓸 수 있느냐의 문제인 것 같아.
참고자료가 필요하진 않다는 생각이 드는데. 흐흐.
요 위와 밑에 글 쓰신 분들은 답변 쓸 수 있지 않겠어.

로쟈 2008-04-01 1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랑스는 철학 몰입 교육을 하는 탓에...

바람구두 2008-04-02 10:17   좋아요 0 | URL
크크...
잘 지내셨지요.

2008-04-02 02: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람구두 2008-04-02 10:18   좋아요 0 | URL
지금 제 옆의 쫄따구와 통화하고 계시는데요. 흐흐...

책창고 2008-04-02 1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1권은 가지고 있는데, 문제들이 심오한 게 우리나라 입시 논술과는 좀 다른 것 같아요. 어릴 때부터 철학적 사고가 훈련이 되어야 각이 설 것 같은 느낌이랄까 ^^;
얼마 전에 <프랑스 고교 철학>이라고 삼협출판사에서 남기영 역으로 나온 4권 짜리 책이 있다는 걸 알았어요. 공부 해볼려고 샀는데 아직 손도 못댔네요. 그걸로 공부하면 좀 쓸 수 있으려나요? ^^

바람구두 2008-04-02 11:28   좋아요 0 | URL
그 책 저도 읽었는데...
좋은 책이죠. ^^

마늘빵 2008-04-03 09:43   좋아요 0 | URL
아 그 책 저도 네 권 다 가지고 있는데 엄청 어렵다는. -_- 대학 교재로 써도 어려울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