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ㅣ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20
모리미 토미히코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 문학이 베스트셀러를 휩쓰는 것은 이제 놀라운 일도 아니다. 신간소설도 한국이나 미국 쪽보다 일본 쪽이 더 각광받고, 홍보도 더 많이 되는 듯하다. 그 와중에 눈에 띄는 책이 몇 권 있었는데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도 그 중 한 권이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이 책에 쏟아지는 호평들은 너무 과장되어 있는 게 아닌가 싶다.
취향이라는 것이 원래 다 제각각이니 이 책에 높은 평을 하는 사람도 있고, 낮은 평을 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20명이 넘어가는 인원이 평을 하면 대체적으로 책의 분위기나 장점 단점이 보이는 법이다. 그런데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는 분명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릴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호평일색인 듯하다.
개인적으로 모리미 토미히코가 "이사카 코타로를 이을 차세대 작가"로 부상하고 있다는 소개에는 정말 할 말이 없다. 퍼즐식 구성만 되어 있으면 다 이사카 코타로인가? 둘다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고? 이사카 코타로는 "어쩐지 믿고 싶어지는" 기적을 이야기하는 데 비해 모리미 토미히코는 "절대로 믿지 않을" 환상을 이야기한다. 이 둘은 엄연한 차이가 있다. 전자가 어쩌면 현실에서 있을 법하다고 기대하게 만든다면, 후자는 결코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을 판타지를 즐기게 하는 것이다. 이사카 코타로 팬으로서 받아들이기 힘든 문구다.
게다가 일본 문화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 읽으면 시각적으로 구성하기 매우 힘든 장면들이 많아 읽는 내내 "영화화되서 보면 편하겠다"는 생각만 들었다. 교토가 배경이어서 그런가? 환상적이긴 한데 일본틱하게 환상적이다. 열심히 쓴 작가에게는 정말 미안하게도, 전혀 공감도 안 가고 재미도 없는 환상이었다.
책은 두고두고 다시 읽어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만 구입하는 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을 사지 않고 빌려 읽은 것이 천만다행이다. 내용은 몰라도 표지와 제목 하나는 딱 내 취향이라 하마터면 살 뻔했는데... 혹시 표지와 제목에 혹해서 구입하려는 분들이 있다면 일단 한 챕터만이라도 읽고 분위기를 파악한 뒤에 살 것을 권한다. 많은 분들이 책의 분위기에 만족하시는 듯한데, 나와 같이 안 맞는 분들도 있을 게 분명하므로.
뱀발) 이 책이 나오기 전에 나온 저자의 다른 책을 보니 작가소개에 <밤은 짧으니 아가씨여 걸어라>로 제목이 번역되어 있다. 맙소사.. 번역의 중요성을 실감한 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