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딱 하루만 수학자의 뇌로 산다면 - 복잡한 일상의 현명한 결정을 돕는 수학자의 생각법
크리스 워링 지음, 고유경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8월
평점 :
학창시절에 수학을 배우는 모두가 한 번쯤 푸념처럼 하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이걸 배워서 도대체 어디다 써 먹어?" 흔히 국영수/언외수라고 불리는 3대 과목 중 하나이면서도 도대체 나머지 두 과목만큼 실용성이 와 닿지 않는 학문이잖아요. 논리적인 사고방식을 길러준다고는 하는데, 내 머릿속에서 논리력이 길러지는지 아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여러모로 수학은 실생활과는 거리가 먼 학문처럼 느껴집니다.
<딱 하루만 수학자의 뇌로 산다면>은 바로 이 지점은 안타까워한 수학자가 최선을 다해 실생활에서 뽑아낸 수학 개념서 같아요. 어떻게 하면 우리가 먹고, 자고, 움직이고, 노력하는 부분에서 수학이 응용된다는 걸 보여줄 수 있을까? 하고 고심한 흔적이 역력하게 드러나는 책입니다. 본격적인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수많은 수학 개념이나 공식이 우다다 쏟아지는데, 그건 본문 중에 혹시 헷갈리거나 모르는 내용이 있으면 앞에서 찾아보라는 친절한 부록 같은 개념이라 그냥 넘어가셔도 됩니다. 저처럼 학창시절을 추억하며 다시 읽어보셔도 좋고요. 오랜만에 싸인, 코싸인, 탄젠트 이런 개념 읽으니까 아주 추억이 방울방울 맺히더라고요ㅋㅋㅋ
사람마다 흥미롭게 보는 챕터가 다를 것 같아요. 저는 다이어트와 관련된 3장, 그리고 '유령 체증'이라는 신기한 현상을 설명하는 5장, 어쩐지 이력서를 넣을 때 도움이 될 것 같은 느낌을 주는 7장이 재미있었습니다. 3장의 BMI 지수(몸무게÷키의 제곱)나 BMR(몸무게x10+키x6.35-나이x5-161) 같은 건 아마 계산기 켜고 금방 계산해보는 독자들 많을 것 같아요. 저도 그렇고요! 7장 마지막에는 생각지도 못하게 서울의 사례가 등장해서 깜짝 놀랐답니다. 지금길을 만들었더니 오히려 모두가 더 느려지는 신기한 현상에 대한 거였죠. 또 수많은 이력서를 볼 때 도대체 얼마만큼의 면접을 봐야 최선을 결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확률론적인 이야기도 있었는데, 책에 소개된 건 사람을 뽑는 기업 입장이지만 반대로 구직자 입장에서도 해당 확률을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흥미로웠어요.
수학.. 재밌긴 한데 정말 쓸데없는 학문이지.. 하고 생각하셨던 분들이 계시다면 한번쯤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애초에 수학에 큰 흥미가 없으신 분들이라면 약간 힘드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책에서 개념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게 아니거든요. 오히려 이미 알고 있는 개념이나 지식이 이렇게 활용된답니다 짜잔! 하고 보여주는 것에 가까워요. 원주율이 뭔지, 삼각법이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읽으면 진도가 안 나가거나 매우 빠르게 휙휙 다 넘어가거나 둘 중에 하나가 될 것 같습니다. 참고하세요!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