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재가 어딨어? - 아이디어를 찾아 밤을 지새우는 창작자들에게
그랜트 스나이더 지음, 공경희 옮김 / 윌북 / 2022년 8월
평점 :
제가 제목만 보고 책에 대해서 잘못 판단했어요. 제목과 부제만 봤을 때는 실용서에 가까운 내용인가 싶었는데, 막상 읽어보니 그보다는 훨씬 더 담담하게 써내려간 공감에세이툰에 가깝더라고요. 빈 종이 위를 어떻게든 채우려고 노력하면서 오늘 하루도 아이디어를 쥐어짜내고(!) 있는 이들을 위로할 수 있는 그런 작품 같아요. 다른 사람들도 다 나랑 똑같구나, 하는 순간에 찾아오는 안도감 같은 게 있잖아요. 멋진 작품을 만날 때마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지 하고 감탄하면서 자신의 평범함에 조금 기가 죽기도 하고요. 그러다 알고보면 모두가 저처럼 스트레스와 불안에 시달리고, 계속해서 압박감에 짓눌린다는 걸 확인받는 건 조금은 '나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 들게 하는 힘이 있어요.
제가 특히 많이 시달리는 건 '과거의 창의력 유령'이에요. 예전에는 그냥 앉아있기만 해도 머릿속에서 온갖 이야기들이 저절로 떠올랐잖아? 근데 지금은 왜 안 돼? 하는 제 자신의 목소리가 빈 종이 앞에 앉을 때마다 자꾸 떠올라요. 꼭 창작이 아니라 공부할 때도 마찬가지라서 야 예전 같았으면 이 자격증 따는 데 한달이면 충분했을걸? 하고 제가 자꾸 저를 비아냥거려요ㅠ 이건 제가 의식해서 하는 게 아니라서 답도 없지 말입니다.. 반면에 '미래의 창의력 유령'에 시달린 적은 별로 없어요. 영원한 작품을 만들지 않으면 아무도 널 기억하지 않을거야, 같은 목소리를 듣기엔 제가 영원한 작품에 대한 믿음이 없어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영원 같은 건 너무 멀잖아요.
인생을 충분히 즐기면서 살고 싶은데, 제가 그렇게까지 막 유머감각이 있고 즉흥적이고 모험을 즐기는 그런 스타일이 아니어서 왠지 손해를 보는 듯한 기분이 될 때가 있어요. 엉뚱한 돌발상황에도 거기서 즐거움을 찾아내고 더 멋진 경험으로 바꿔놓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은데 그게 참 쉽지가 않더라고요. 내리는 비에 그림을 망쳐도 오히려 거기서 더 다채로운 색을 찾아내는 그런 사람이 되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같은 상황도 유연하고 매력적인 대처를 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저라면 그렇게 못 했을 상황에 대처하는 사람들 보면 너무 멋져요!
이 책에 있는 수많은 카툰 중 <월요일 아침>이라는 제목을 가진 만화가 정말 공감의 끝판왕이었습니다. 전 이 책의 저자가 아마 전업 만화가일 거라고 생각하는데, 이 만화를 보고서는 그래도 직장 경험이 아예 없는 사람은 아니구나 싶었답니다. 아니 누가 봐도 평범한 직장인이잖아요ㅋㅋㅋ 전 커피를 맛으로 즐기는 편이 아닌데도, 평일에 회사에 가면 무조건 커피를 마시거든요. 그건 사실 음료가 아니라 거의 무슨 잠을 깨게 해주는 포션 같은 느낌으로 들이붓는 거라.. 잠옷을 입고 커피에 다이빙했다가 넥타이를 매고 뛰쳐나오는 모습이 어찌나 너나우리의 모습인지요. 어휴. 그래도 이런 경험이 있으니 이런 만화를 그릴 수 있는 거라 애써 생각해봅니다..ㅎ..
전체적으로 술술 잘 읽히고 재미있었어요. 다만 조금 주제와 어긋나는 것 같은 만화가 있기도 했고 (다이빙을 망설이다가 뭘 망설였지? 하고 멋지게 뛰어내리는 서사였는데 아무리 봐도 그 전엔 뛰어내리지 않는 게 맞는 상황이 펼쳐졌다든가 하는 식으로요) 어떤 아이디어를 찾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주거나 하지 않아서, 실질적인 창작에의 도움보다는 위로와 공감 위주로 가볍게 읽고 싶으신 분들에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