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커스 랩 - 그 멋진 작품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론 M. 버크먼 지음, 신동숙 옮김 / 윌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커스 랩>을 읽는 내내 인터넷에서 잊을 만 하면 화제가 되곤 하는 김연아 선수의 유명한 명언이 떠오르더라고요. "무슨 생각을 해. 그냥 하는 거지." 될까 안 될까, 어떻게 될까, 뭐가 될까, 하는 고민을 하지 말고 일단 몸을 움직이는 게 중요하다는 말. 살다보니 정말 맞는 말 같아요. 꼭 창의력이 필요한 일이 아니라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중한 건 필요하지만, 그냥 계속 머릿속으로 계산기를 두드려보고 이래저래 재는 것보다는 무모하게 저질러버리고 나서 꾸준히 하는 게 효과가 있을 때가 많잖아요.


 현대에도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천재'와 '영감'과 '뮤즈'와 '광기'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예술을 하는 사람이라면 예민하고, 불안하고, 우울한 구석이 있다는 것 역시 사회 통념이고요. 하지만 최근 들어 절실하게 느끼는 한 가지는, 몸이든 마음이든 건강한 상태에서 나오는 예술이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나오는 예술보다 수준이 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우리는 그렇게 바람직한 창작 환경에서 더 뛰어난 예술 작품이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 책에 나오는 관점도 비슷해요. 천재성이란 환상이다! 누군가 신에게 선택받아서 귀에 완벽한 작품을 속삭여주는 게 아니다! 

 

 저는 작가도 아니고 창작자라고 할 만한 사람도 아니지만, 그래도 가끔 후기랍시고 이것저것 끄적거리는 사람이잖아요. 그래서 '일단 시작하니까 내가 뭘 해야 하는지 알겠는' 감각이 뭔지 좀 알겠어요. 왜냐면 저도 도대체 이 작품은 뭘 말하고 싶었던 걸까? 라거나 나는 이걸로 도대체 뭘 느꼈고 후기에 뭘 쓰고 싶은 거지? 하고 막막할 때 일단 한 문장을 써보면 그 다음 문장이 흘러나올 때가 있거든요. 창작자들의 거대한 세계관에 비하면 너무 소소한 요소이긴 한데, 타자를 두드리다 보면 하고 싶은 말이 딱 정돈이 되는 순간이 있어요. 시작 전에 전혀 생각하지도 않았던 문장이 막 튀어나오고요. 그냥 일개 감상자인 저조차도 이러한데, 정말로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창작자들은 어떻겠어요!


 엄청 인상적이었던 게, 우리가 평범하게 대화를 나누는 행위들이 당연히 즉흥적인 활동이라는 말이었습니다. 즉흥 연주나 즉흥 연극에 대한 감각을 알기는 어렵잖아요. 해본 적이 없으니까요. 어느 순간 내가 뭘 해야 하는지 안다는 감각이 어떤 거지? 하지만 상대와 대화를 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니까 갑자기 이해가 확 되는 거예요. 상대방의 반응을 잘 살피고, 적절한 리액션을 하고, 거기에 내가 상대에게 전하고 싶은 바를 돌려주고, 그에 대한 답을 받고, 다시 던지고, 받고... 하는 그 모든 일련의 과정을 창작자들은 말이 아니라 '자신의 도구'로 하고 있다는 점만 다르구나 싶어요.


 결국 예술뿐만 아니라 삶 전반에도 통용되는 이야기라 재밌었습니다. 저자가 수십년간 만나본 많은 기업가, 예술가, 학자, 작가들과의 인터뷰 경험이 곳곳에 잘 녹아들어 있어서 설득력 있었어요. 사실 저는 제목만 보고 실용서로 집어들었는데 대중 인문서를 읽는 것 같은 느낌도 들고요. 이런 식으로 어렵지 않게, 그러면서도 논거가 분명하게 이야기해주는 책, 저는 정말 좋아합니다. 재밌었어요:)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