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의 사회 - 말해지지 않은 무궁무진한 여자들의 관계에 대하여
권김현영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에 생각해왔던 부분을 명료하게 정돈된 문장으로 다시 만나는 일은 언제나 즐겁습니다. <여자들의 사회>가 딱 그래요.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고 접근성이 높은 컨텐츠를 중심으로 여성, 그리고 여러 여성들의 관계에 대해서 말하는 걸 보고 있자면 '맞아 이 생각 나도 했었는데! 단어나 표현은 다르지만!' 하게 된다니까요. 그렇다고 전문적이고 어려운 이론이나 용어를 쓰는 것도 아니고요. 아마 지금 이 시대의 수많은 여성들이 자연스럽게 체득하고 있을 어떤 사고방식이나 생각을 깔끔하게 정리해 놓은 것 같은 책입니다.


 흔히 '여성 서사'라고 불리는, 여성이 주인공이거나 혹은 여성의 관계성이 주로 부각되는 여러 작품들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아마 책을 읽는 독자마다 접한 경험이 다 다를 것 같아요. <빨간 머리 앤>이나 <작은 아씨들>처럼 어떤 장르로든 누구나 한 번쯤은 봤을 만한 작품도 있지만, 반대로 웹툰이나 예능 같은 경우는 아무리 화제성이 높다 해도 접해 보지 못한 사람이 있을 테니까요. 사실 제 얘기입니다. 웹툰이나 TV를 거의 보지 않기 때문에 모르는 작품이 많았어요. 하지만 제가 모르는 작품도 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대략 '이런 여자가 나오는구나. 이런 관계성을 다루고 있구나. 이런 부분을 짚어주는구나.' 하고 알 수 있을 정도로 다뤄주기 때문에, 오히려 책을 보고 나니까 해당 작품에 대해서 찾아보고 싶어지더라고요.


 개인적으로 <스트리트 우먼 파이트>를 다룬 챕터가 정말 인상깊어서, 그동안 아무리 주변에서 보라고~ 보라고~ 영업이 들어와도 귀찮아서 찾아보지 않았던 게 후회가 되더라고요. 뒤늦게라도 꼭 봐야겠다 결심했어요. 특히 저자가 자신은 자매애라는 것을 믿지 않는다고, 억압받는 자들은 저항하는 것보다 순응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에 저항은 아주 드물게 이루어진다고, 여자들이 여기에도 저기에도, 위에도 아래에도 다양하게 포진해 있어야 서로 반목하다가도 연대하고 저항할 수 있다고 말한 부분이 정말 좋았습니다. 흔히 '알리바이 여성'이라고 하죠? 요즘 시대에 차별이라는 건 아니까, 남자들 사이에 대충 구색 갖추려고 한두명 끼워넣는 여성 말이에요. 너무 과대표되고 있고, 그래서 뭘 해볼 수가 없잖아요. 여자들만 실컷 나와서 A 스타일의 리더쉽도 보여주고, B 스타일의 리더쉽도 보여주고, C 스타일의 패기 넘치는 뉴페이스가 되기도 하고... 그런 '판'을 보고 자란 세대들은 또 지금보다 훨씬 더 자유롭겠죠. 그런 생각을 하니까 너무 보고 싶어졌어요ㅋㅋㅋ


 우리는 끊임없이 이야기를, 서사를, 작품을 소비합니다. 그리고 언제나 그 안에는 의도된 혹은 의도하지 않았어도 반영된 사회의 욕망이나 규범이 담겨 있어요. 똑같은 상황도 어느 각도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르게 읽을 수 있게 되기도 합니다. 똑같은 각도라도 시대에 따라 더 긍정적으로 읽힐 수도 있고요. 책에 실린 13개의 작품들은 유명세는 각자 다르지만, 지금 2021년 현재 한국 여성에게 분명히 의미있는 지점이 있습니다. 각자 서 있는 위치에 따라 그 깊이나 정도가 다르겠지만, 이 작품들에 힘입어 더 나은 다음이 올 거라는 것만큼은 확실해 보여요! 그리고 이런 멋진 작품들에 대해 정확하고 간결하게 포인트를 딱딱 짚어주시는 권김현영 작가님의 필력도 너무 멋집니다. 추천해요~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