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역사
알베르토 망구엘 지음, 정명진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직 한참 멀었다고 생각하지만 죽을 때까지도 아쉬울 몇 가지가 있다. 읽기, 듣기, 보기. 그 대상은 책, 음악, 영화다. 음악을 제외하면 눈을 활용한 활동이기 때문에 시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은 무척이나 중요한 과제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기에 빠져들다 보면  눈을 혹사한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는데, 이러다가 혹시 시력은 어느 순간 사라져 버리는 건 아닐까, 그만큼 값어치가 있는 읽기를 하고 있나 하는 생각을 할 때도 있다. 독서는 시간이 날 때마다 즐기는 가장 소중한 취미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굳이 장르나 언어를 가리지는 않으나 그 각각의 경우마다 무게값에는 꽤나 신경을 쓰는 편이다.

 

정작 독서가 소중한 생활의 일부이면서도 독서 그 자체에 대한 책은 별로 읽어온 기억이 없다. 워낙 그런 책이 드물기도 한 탓이기도 하지만 독서 행위를 되돌아봐야 할 시간에도 독서가 타겟으로 한 지식이나 정보 획득에 대한 욕구가 앞선 경우가 많았던 것같다.

 

그러던 차에 알베르토 망구엘의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이 책에 대한 정보는 전부터 알고 있었다. 이 책은 책과 독서에 대한 서구의 역사를 다양한 측면에서 조명하고 있는데, 해박한 지식과 문장력을 바탕으로 나 이전에 독서에 대한 지독한 갈망을 가졌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해주었다.

 

이 책에는 성별과 인종, 민족, 시공을 초월해서 독서에 대한 열망으로 한 자리에 모인 무수한 독서인들이 등장하는데, 그 사람들의 열망과 접할 때 그들과 내 사이에 놓인 거리가 일순간에 무화되면서 한 자리에 모여 앉은 독서클럽의 친구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런 측면에서 독서와 같이 지극히 고립된 경험이 책을 읽는 순간만큼은 따뜻하게 느껴졌다.  책 읽기의 경험을 공유한다는 것만큼 즐겁고 지적인 경험은 없는 터에 이런 책은 각자의 읽기 경험을 되돌아보고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자기 이야기의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처럼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유려한 번역 덕분이라는 생각도 든다. 보통 역자가 누구인가를 확인하는 경우는 두 가지이다. 번역이 안 좋을 때와 상당히 좋을 때. 이 책은 후자인데 이 정도 번역은 그냥 나오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번역할 마음으로 하는 독서야말로 가장 정교해야 하고 또 그만큼 고통스러운 것이 터니까.

 

이 책은 서구 기독교 문화를 중심에 놓고 서술하다 보니 본문 내용 중 기독교 관련 내용이 상당수 있다. 나는 읽다가 약간 지루한 부분은 건너뛰고 읽기도 했는데 기독교 신자라면 매우 흥미롭게 읽으리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