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과 현대성 - 패러다임 총서
주은우 지음 / 한나래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자신의 박사논문을 단행본으로 펴낸 것이다. 논문이 발표될 당시 우연찮은 계기로 훑듯 읽어본 기억이 난다. 사회학 논문으로서는 문화와 미학과 접목된 분야를 다루고 있었기에 매우 흥미로운 논문이었다. 그러나 수 년이 지난 이 논문이 머리 속 한 켠에서 계속 맴돌고 있었던 것은 최근 들어서 깊은 고민의 영역인 본다는 것의 의미와 효과, 영향과 역사 등을 화두처럼 안고 살고 있기 때문이다.

본다는 것은 분명 내 마음대로 본다는 것도 아니고 그 봄으로 인해 일으키는 반응 역시 자율적인 의지에 따른 것도 아니다. 그리고 본다는 것이 아니라면 도대체 우리가 현대 사회와 어떻게 접촉하며 타인들과 문화를 공유할 것인지 하는 난감한 가정을 해보곤 한다. 20세기는 분명 본다는 것 자체의 환경과 구조에 심대한 변화를 가져온 시기였다. 자본주의적 대량생산과 사회의 민주화는 특권층의 향락이나 과시 수단이었던 각종 진기한 볼거리들을 서민들의 일상으로 이끌어 들였다. 그리고 대도시로 재편된 도시 환경의 변화와 소비자본주의의 확산은 본다는 것이 어지럼증과 환영의 기나긴 연속이 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었다. 그러한 조건 속에서 여전히 우리는 일상을 영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문제들과 연관된 사유를 확장시키기에 우리의 연구 성과는 매우 보잘 것 없음을 종종 느껴왔다. 번역서라도 좋으니 이런 질문들에 대한 답으로 가는 길을 보여지기를 바랐는데, 저자의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내게 큰 의미를 준다. 아직까지 대중화되지 못한 영역이라서 그런지 내게 저자가 풀어내는 이야기들은 마냥 흥미롭다.

물론 논의의 상당수가 해외 연구 성과들을 정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초기 단계의 연구에서는 해외 연구 성과의 정리와 소개만으로도 그 의미는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원근법으로 요약되는 현대성의 시각 문화에서 다양한 광학 기계와 대도시적 경험에 기인한 탈중화되고 유동적인 시각 문화로의 변화 과정은 의식 철학의 인식 주체라는 매개로만 이해되던 현대성의 중요한 심급을 또 다른 각도에서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연구 성과를 보면서도 정작 우리의 경험들을 우리의 자료에 근거해서 설명할 수 있는 날은 아직도 멀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자료조차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으니, 어느 세월에 자료를 검토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단 말인가? 외국의 경험은 외국의 경험일 뿐이다. 그리고 정작 우리가 알고 싶어하는 것은 우리의 환경과 연계된 경험의 역사일 것이다. 그런 점은 저자 역시도 차후의 연구 과제로 삼고 있으니 머지 않은 장래에 어떤 식으로든 좋은 결과가 도출되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