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그의 시대
안미영 지음 / 소명출판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상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청소년들에게는 우상처럼 절대시된다. 한국 문학의 최대치가 이상의 문학이요 이상 앞에 천재 없고 그 뒤에 천재 없다는 천재론이 그들에게는 존재한다. 그리고 문학연구자에게 이상은 당대와 그 후대를 아울러 시간의 지평을 미래로까지 확장한 문제적인 문학인이다. 그런 탓에 한국문학을 논하는 마당에 이상을 에둘러서 간다는 것은 뭔가 꺼림칙한 일처럼 연구자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수많은 시간과 정력과 종이와 잉크를 소비하며 이상과 그의 문학을 논해왔지만 탄산음료를 마신 뒤끝처럼 항상 개운치 않아 연구자들은 쓰고 또 쓴다.

<이상과 그의 시대>는 일제 강점기 신체 담론의 근대적 변화에 대한 여성사적 관심사에서 이상 문학에 접근한 책이다. 신체 담론의 변화를 당대의 신문과 잡지에 산견되는 자료들을 통해서 재구하고 이를 이상 문학의 담론 양상에 결부 짓는 연구는 한번쯤 시도되었을 법한 영역이었지만, 저자에 의해 비로소 외화되었다. 전근대적이고 전통적인 신체 담론에 대한 막연한 인상을 중심으로 이상 문학의 담론적 근대성을 논하던 태도에서 한 차원 더 실증적으로 접근한 것이라고 보여지는 바, 논리적이고 정교한 서술 방식은 논의의 명징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런 측면과 함께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이상 문학을 중심에 놓고 당대의 모더니즘 소설가들의 문학적 담론과의 대비를 시도함으로써, 이상 문학의 담론적 특수성을 해명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한 편 한 편 찾아 읽는 학문적 꼼꼼함과 더불어 저자의 폭넓은 시각이 돋보인다.

하지만 이상 문학에 있어 신체 담론은 굳이 이상이 아니더라도 가질 법한 보편성이 개재되어 있는 이상, 이상 문학에서 현재 요구되는 문제 지점과는 다소 거리를 두고 있는 듯한 아쉬움이 느껴진다. 또한 저자의 전공상의 제한에서 비롯된 듯하기는 하지만, 이상 문학에 있어 신체 담론은 소설이나 수필의 영역으로 한정될 때 다소 제한된 의미만을 부여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문제가 된다. 이상 문학 중 시에 있어 신체 이미지는 신체 담론의 이상 문학적 특수성이 녹아들어 있는 진원지라는 점을 고려할 때, 장르상의 경계를 허물고 시와 산문 사이의 낙차를 고려하면서 포괄적으로 다뤄질 필요가 있을 듯하다.

그러나 최근의 여성사적 관심의 집적도를 반영한 연구라는 점에서 이상 문학 연구의 의미 있는 하나로 놓여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