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 속의 내 정원 문학과지성 시인선 247
박라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속도전을 벌이는 듯한 현대소설의 세계와는 달리 현대시의 세계는 어떤 원형적 공간을 계속 맴도는 듯한 인상을 준다. 시 특유의 그 기동성으로 말미암아 시대의 변화와 흐름을 가장 먼저 포착할 수 있는 장르였던 기억이 선명한데, 이제 시는 현대성과의 본격적인 접점을 형성해가며 시대적 실존의 문제를 포착하기에는 너무나 지쳐있다는 인상을 준다. 물론 시는 그 나름의 방식을 통해 현대성의 문제를 맥락화하지만, 소설과는 달리 현대성의 지표들을 예시하는 시대적 사물보다는 바람, 별, 꽃같은 원형적 사물들을 주로 다룬다. 그래서 흔히 소재라고 지칭되는 것만을 놓고 해당 시의 시대성을 가늠하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요즘처럼 하루가 멀게 급격히 인식론적 지도를 변화하는 광폭한 테크놀로지의 시대에 더 이상 시는 그것과의 고투에 애를 쓰기보다는 시 고유의 영역에서 시적 후광 뿜어내기에 애쓰고 있는 듯하다.

박라연의 시는 그 연륜에서 비롯되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시작 경력이 그와 맞먹는 시인들에 비해 한층 깊고 절실한 울림을 가져다주는 게 특징이다. 현대를 시인으로 살면서 갖가지 삶의 경험을 거치게 마련인데, 시인은 그것에 경험적 차원으로 다가가지 않는다. 그의 삶은 시적인 구성의 의지로 표백되고 걸러져 깊은 맥락을 제공한다. <공중 속의 내 정원>에 담긴 시들도 시적 세계 그 자체로만 놓고볼 때 여타의 시들이 보여주는 세계가 그닥 다를 바 없다. 하지만 비슷한 삶의 인식에 다가가면서도 그 과정은 사뭇 다르다. 삶의 욕망과 죽음의 욕망 사이에서 끊임없이 길항작용을 느끼며 사는 현대인의 의식을 부조하면서 박라연은 단순히 자연의 사물들과의 감정 이입을 통하는 일차원적 방식을 벗어나 사물들을 주체로 세우거나 그 사물들이 마련한 세계에 화자의 의식을 하나의 개체로 끌어들임으로써 전도된 구성틀을 가지고 작업한다. 따라서 시에 대한 전통적 형태가 시적 화자를 강한 주체로 설정하고 외부 대상을 그 주체의 의식이나 욕망을 표백하는 하나의 스크린화한다면, 박라연은 그 자신을 객체를 위한 스크린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박라연의 시는 범상한 시들을 대할 때와는 달리 어딘지 모르는 부자연스러움의 세계를 펼쳐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현대인의 영혼의 병이 근본적으로 주체로서 겪는 장애라는 점을 감안할 때, 그 영혼의 병을 치유하는 색다른 방식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시에 있어 현대성이나 동시대성은 결코 그 소재적 차원에서 확보될 수 없다. 시는 분명 하나의 원형적 공간이자 무시간적 정지 상태를 창조하는 매개자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 공간을 창조하는 시적 방법의 새로움, 적절성만이 시의 현대성을 담보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그렇게 볼 때 박라연의 시는 천편일률적인 시세계에 작은 틈을 내면 한 편의 시라고 해도 좋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