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과 사상 20 - 한국 문학의 위선과 기만
강준만 엮음 / 개마고원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강준만의 지식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은 항상 밝은 빛 속으로 꺼내기를 두려워하는 어두운 구석을 향하고 있다. 그 비판의 타당성도 충분하다고 믿는 편이지만, 그 용기 자체만으로도 광휘를 발휘하고 있다고 확신하는 편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놀라운 것은 자기 전공이 아닌 분야에 대해서는 입 닫고 있는 게 옳다는 지식사회의 암묵적 동의를 강준만이 과감하게 깨트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사회과학 전공자의 문학 개입은 속류사회학적 비판이라는 두려움을 안기 마련이라 지금껏 그 누구도 하지 않았던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준만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이는 그의 ‘<조선일보> 제 몫 찾아주기 운동’의 파생물이라고 하겠다. 언론의 대중 장악력에서 가장 미묘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부분이 문화 쪽이고 보니, <조선일보>와 관계하며 ‘일등 신문’의 프리미엄을 얻고자 하는 속류 진보 지식인들이 행사하는 문화 권력을 비판할 필요가 있었고, 전통적인 문인사대부적 전통의 끝자락을 움켜쥐며 권력의 단맛을 보는 문학지식인을 비판할 필요도 부가되었던 것으로 전후 사정을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측면에서 반강제적으로 半문학 텍스트인 문학평론들을 읽을 계기를 가졌던 것이 강준만 개인의 발전 측면에서는 오히려 유익한 경험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회과학 전공자의 문학 장에 대한 개입은 문학계에서는 그동안 이류 방법론으로 경시되었던 문학사회학의 구조, 제도적 측면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는 계기로 작용한다고 볼 때, 이는 논의가 오고가는 양측 모두에게 결국은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문열에 대한 비판은 강준만이 예전부터 줄기차게 수행해온 작업이기 때문에 신선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오히려 일반 대중의 눈을 사로잡는 꼭지는 남진우, 윤지관(그리고 이와 연결된 백낙청) 비판이 아닌가 생각된다. 남진우는 탁월한 미적 문체로 잘 알려진 시인이자 문학동네라는 문학 출판사(계간지)를 대표하는 비평가로 잘 알려져 있고, 소설가 신경숙과 결혼했다는 사실로 세인의 관심을 끌기도 한 인물인데, 강준만은 남진우의 서정주 옹호로 대표되는 예술과 삶의 분리주의 경향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서정주의 시와 삶은 별개이며, 삶의 굴절은 시의 가치와는 무관한, 하찮은 것에 불과하다는 주장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과거 서정주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사람조차 서정주 옹호로 돌아서고 있는 형편이지만 서정주의 시가 그의 행동과 과연 무관한 입지에서 씌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은 간과될 수 없으며 그의 시와 행동은 하나를 버리고 하나를 취하는 방식보다는 그 두 가지가 하나로 수렴되는 특수한 미학의 견지에서 평가되고 기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윤지관을 통해서 강준만은 말로는 진보를 외치면서 생활 속에서는 기득권을 유지하는 이중적 분열을 보이는 일부 진보 지식인의 행태를 비판하고 윤지관의 아놀드 비평에 대한 찬사가 그의 스승이자 창작과비평이라는 문학권력의 대표자인 백낙청의 영향권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은 파생물임을 입증하고 있다.

강준만은 다양한 인물과 영역을 자기 담론의 대상으로 불러들이고 있지만 그의 작업은 궁극적으로 ‘자칭 자유주의자’의 기본 원칙인 언론의 진정한 자유로 귀착되고 있다. 문학 장에 대한 비판도 그 작업의 일환이라고 하겠는데, 그의 작업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부끄러움을 느끼게 된다. 막연히 의식상으로 진보를 자임하는 것으로 지식인이라고 믿는 것과 그것을 실천하는 일이 다른 일이며, 오히려 이율배반적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그는 우리에게 따끔하게 일깨우고 있다. 그리고 타 분야에 대해 전공자들이 부끄러워 할 정도로 성실하게 텍스트를 챙겨서 꼼꼼히 읽어나가는 그의 태도는 존경스럽기조차 하다. 그의 작업은 위선, 기만이 판치는 한국사회에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진 것으로 멀리서 지켜보는 것으로 만사를 삼는 이들의 자성의 욕망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