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영화사 동문선 현대신서 17
막스 테시에 지음, 최은미 옮김 / 동문선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일본영화에 대해 통시적으로 접근한 거의 유일한 책이다. 이론이나 비평과 더불어 역사는 영화에 다가가는 삼각 고리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이나 비평 쪽 서적이 압도하는 현상은 우리가 여전히 총론과 실제 비평의 영역을 헤매고 있다는 현실의 반증처럼 보인다. 역사의 흐름을 읽지 못할 때 개별 사건들은 문맥과 접목되지 못하는 기이한 언어행위처럼 느껴지기 마련이다.

막시 테시에라는 프랑스인의 일본영화사를 번역했다는 사실은 특이하다. 일본의 영화 문화와 역사를 가장 잘 이해하고 충실히 서술할 수 있는 능력과 권위는 그 당사자에게 있음이 분명한데, 왜 굳이 일본 저자가 아닌 이국의 저자가 쓴 책을 번역한 것일까? 프랑스라는 국적이 권위를 부여해주는 것일까?

이 책의 특징이라면 일본영화의 미학적 가치를 가장 먼저 발견한 칸, 베니스 영화제, 그리고 일본의 작가영화에 대해 열광적이었던 프랑스 영화비평지 <카이에 뒤 시네마>, <뽀지띠프>를 둘러싼 유럽 쪽의 관심이 적절히 반영된 시각에서 일본영화사를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의 정치사회와 영화제도 상 변동의 축을 따라 구로사와, 오즈, 미조구치, 스즈키, 오시마, 키타노(비트), 미야자키로 이어지는 일본영화의 큰 맥을 훑으면서 나아가는 이 책에는 기존의 상식을 크게 뒤집을 만한 내용은 없는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단편적 지식의 수준에서 질서를 잡지 못하던 일본영화에 대한 지식을 일련의 흐름으로 꿸 수 있는 계기로서는 충분하다.

이 책을 읽는데 긴장이나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금방 읽힐 분량에다 번역도 수준급이기 때문이다. 부록으로 일본영화의 프랑스 출시 현황이 소개되어 있다. 처음에는 한국 출시 현황인줄 착각했다. 아쉬운 점이다. 프랑스에는 흔히 거장으로 불리는 일본 영화 감독의 작품들이 꽤 출시되어 있다. 우리와는 사정이 많이 다르다는 점을 직감할 수 있다.

일본영화는 꾸준히 소개되고 있지만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그 미지의 영역에 대한 몽상이 실제 이상의 기대와 환상을 부풀리는 일은 하루바삐 사라져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