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괴도신사 아르센 뤼팽 ㅣ 까치글방 아르센 뤼팽 전집 1
모리스 르블랑 지음, 성귀수 옮김 / 까치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홈즈 팬이었다.
그도 그럴것이 기암성, 괴도신사 루팡을 읽으면서 도통 이 뤼팽이란 캐릭터의 매력을 못 느꼈기 때문이다.
내겐 홈즈가 매 작품마다 놀라운 방법으로 추리해내는 모습은 경이로워도
뤼팽이 신출귀몰하는 모습은 전혀 대단해보이지 않았다.
그랬는데 문득, 그야말로 충동적으로,
오색빛깔 찬란한(유치할만큼) 뤼팽완역전집이 완간된 것을 보고 덥썩 사볼까?하는 맘을 먹은 것이다.
더구나 그동안의 뤼팽은 뤼팽이 아니라는 독자, 역자, 미디어의 부르짖음도 호기심을 부추겼고 완역에다가 증보(프랑스판에서도 빠진 에피소드 수록)판이라는 것이 결정적인 펀치를 날렸다. (완역에 약하다)
그리하여 읽게 된 뤼팽은
새로왔다.
추리소설의 완성도나 뭐 그런건 조금 옆으로 미뤄놓고, 어쨌든간에 어릴때 보던 느낌과는 전혀 달랐다.
그 유니크한 말솜씨하며 하나 쪼들릴게 없는 여유로운 도둑이란 설정하며, 뤼팽은 알고보니 어두운 홈즈와 달리 빛의 사나이였던 것이다.
프랑스에서 홈즈에 대적할만한 인물을 내세워보고자 만들었다는 캐릭터치곤 훌륭하다. 문체는 유려하게 넘어가고 사건은 양파껍질 벗기듯 계속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어쩌면 번역의 공일지도 모른다)
솔직힌 모험활극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듯한 소설이지만, 그렇다고 추리소설로서 영 떨어지느냐하면 또 그건 아니다. 그 당시의 사람들이라면 공감했을법한 트릭을 이용하고 있다.
다만 홈즈의 수사가 워낙 과학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트릭이나 추리가 엉성해보이는 듯하다.
그대신 홈즈에서는 볼 수 없는 시각의 반전(유주얼서스펙트같은)이나 뤼팽찾기놀이의 재미가 있다. (이 단편들의 반 이상은 '누가 뤼팽일까'를 찾는 게임이나 다름없다)
어느쪽에서 더 재미를 느끼느냐는 사람마다의 취향차일 것 같고...
나는 순전히 개인적인 취향으로 뤼팽의 손을 들어주고싶다.
좀더 여유롭고 느긋하고 즐거운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사건도 살인사건보다 도둑질 쪽에 비중이 실려 읽는 마음도 보다 가볍고.
전집을 괜히 샀나 후회도 했지만, 어찌저찌 다 읽을 수 있을 것 같은 희망이 생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