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밀 1
시미즈 레이코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시미즈 레이코의 <월광천녀>에는 고위인사들의 '복제'들이 나온다. 최근 인간 복제를 주장하는 이들이 이런 '대체용 자신 복제'의 이점을 거론한다는 점에서 작가의 선견에 꽤 놀랐던 기억이 있다.
이 책 <비밀>의 소재-뇌를 통해 기억을 본다는 설정-도 허무맹랑한 것이 아니다. 솔직히 말하면, 시미즈 레이코를 자극한 소재 대부분은 나 자신도 거의 5년전부터 보아온 뉴스들이었고, 따라서 이 작품의 설정은 전혀 참신하지 않았다. 그녀 자신도 과학적 상상력이 평범함을 인정하고 있는 듯, 아이디어 자체보다 그로 인해 벌어질 수 있는 인간의 문제에 더욱 관심을 보인다. 그녀의 작품들이 특별하게 보이는 것은 바로 참신하진 않지만 독특한 소재로 인간 내면의 모습들을 성실하게 탐구하기 때문인 듯 하다. 그리고 오늘의 과학기술로 근미래에 펼쳐질 수 있을법한 내용을 다룬 탓에 섬뜩한 현실감마저 느낀다.
이 책을 보면서 <돌연변이(사토라레)>와 구성면에서 상당히 비슷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둘 다 독특한 설정하에 일어날법한 갖가지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감성적인 온기 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인다. 시미즈 레이코의 작품은 좀더 금속성의 서늘한 느낌이 난다. 미소년물의 그림체로 잔인한 장면을 무감각하게-무슨 해부학 책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만큼- 그려놓은 것이며 그런 장면들 속에서 객관적 증거를 찾아내는 내용하며, 어찌보면 감정이입을 원치 않는 듯한 냉정함을 유지한다. 그래서 감동적으로 배치된 장면을 보면서도 덤덤하게 책장을 넘기게 된다. 감성에 호소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이런 일이 생긴다면 어떨까?'라는 작가의 지적탐구가 더 강한 만화. 시미즈 레이코의 만화를 보면서 느끼는 점이다.
특히 <비밀>은 -현재 나와있는 2권까지는- 이러한 지적유희에 가장 공들인 작품이 아닌가 싶다. (작가후기에서조차 법의학이나 과학수사를 얘기하는 모습이 상당히 이쪽에 심취한 듯 하다) 장편에서 보기 힘든 잘 짜여진 구성감각도 이 작품의 묘미다. 여러면에서 괜찮은 만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