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시대의 증언자 쁘리모 레비를 찾아서

인간

왜 아우슈비츠의 생존자가 '인간이라는 수치'에 시달려야 했을까? 수치스러움을 모르는 가해자의 수치까지도 피해자가 고스란히 받아서 시달려야 하는, 이 부조리한 전도가 일어나는 것은 왜일까?
 그것은 그가 '너의 원수를 사랑하라'는 교의를 실천하는 고덕(高德)한 성인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유대인은 인간 이하'라는 사상에 희생된 까닭에, 그 사상을 '인간은 모두 평등하다'는 사상으로 대치해야 하는 입장에 있기 때문이다. '독일인'도 물론 '인간'에서 예외는 아니다. 한번 파괴된 '인간'이라는 척도를 재건하려고 하는 한, '인간'이 저지른 죄는 어김없이 그들 자신이 짊어져야 하는 것이다.

(......)

 나찌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유럽인이나 아메리카 대륙의 백인 입장에서 보면, 아프리카인, 아메리카 원주민, 아시아인, 오스트레일리아의 애보리저니(Aborigine), 뉴질랜드의 마오리 등 세계 각지의 원주민은 인간 이하인 존재였다. 일본인의 입장에서 보면, 조선인, 중국인, 류우뀨우(琉球) 민족, 아이누 민족, 타이완 원주민, 남양제도의 사람 등이 바로 인간 이하인 존재였다.
 이런 사상의 희생자들은 멸시당하고, 굴욕적인 대우를 받고, 들볶이고, 노예로 혹사당하다 못해 아예 살육되었다. 그 각각의 장면에서 그들은 '같은 인간인데 왜?'라고 낮은 목소리로 신음했던 것이다. 근원적인 물음이다. 굴욕이나 고통과 함께 몸 안에 새겨진 이 근원적인 물음이 그들을 움직였고, '같은 인간'이라는 척도를 재건하는 어려운 위치로 그들을 내몰았다.
 차별하는 자에게 '같은 인간'이라는 관념은 그냥 단순한 표어 정도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지만, 차별받는 자에게는 자신의 육체나 정신을 지키는 투쟁의 근거이며 무기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피해자 측은 언제나 가해자를 포함한 새로운 보편성의 틀을 재구축하는 역할을 짊어지게 된다. 그것이 인류의 역사를 관통하는 변증법이다. (181-184쪽) 




>> 접힌 부분 펼치기 >>


 

서경식의 글을 썩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이 책은 인상적이다. 아무튼, 올해가 가기 전 쁘리모 레비의 책을 읽어야지.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꼬 2007-11-29 1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경식 선생님 글은 문장의 진지함이 (저에겐) 좀 과해서 좀 숨이 막힐 때가 있어요. -_- (어쩐지 이런 말 하면 안 될 것 같지만 어쨌든.) 그래서 읽으려면 늘 심호흡을 하고 시작해야 하는 어려움은 있지만 다 읽고 나면 기특하다, 싶기도 하죠. (그런 의미에서 비교적 소품인 <<소년의 눈물>>이 저는 참 좋았습니다.) 쁘리모 레비를 찾아서, 저도 좋아요. 그 책 나오고 어느 자리에선가 강연하시는 걸 들었는데 감동이 거센 파도로 밀려오더군요. 디아스포라로서 자신과 쁘리모레비를 동일시하면서도 냉정함을 잃지 않는 대목에서, 문장 때문에 가졌던 거리감을 확 좁혔답니다.

: )

urblue 2007-11-29 17:08   좋아요 0 | URL
진지함이 과하다는 말씀에 동감. 저 위에 썩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 이유가 그겁니다. 예민한 건 알겠는데 과하게 징징거린다는 느낌이구요. (이런 식으로 표현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서도. ^^;)
그래도 꾸준히 읽게 되는 건 역시 들을 만한 말씀을 하시기 때문이겠지요.

2007-12-04 14: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2-04 14: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2-04 18: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2-07 12:5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