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성 말빌 1 메피스토(Mephisto) 5
로베르 메를르 지음, 이재형 옮김 / 책세상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이전 브레이브 하트를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었다. 오로지 물리적 폭력이 횡행하는 저런 시대에서 정말 여자들은 남자에 예속될 수 밖에 없겠구나 하는 생각말이다.

이 책은...핵전쟁이후 살아남은 사람들의 얘기이다. 흥미로우나, 엠마뉘엘이라는 특정 개인 한사람의 카리스마에 힘입어 비로소 이상적인 원시 공동체가 가능하다는 설정은
너무 현실성이 없다.

여성들을 공유한다는 설정은 수긍 갈수도 있지만, 거기에 따르는 도덕적인 갈등은 너무도 축소되 버렸다. 70년대 작품이라 그런가. 작가가 그려내는 여성성은 늙어서 여성성이 도태되거나(느무, 팔빈느), 팜므파탈의 요부이던가 (카티) 말못하는 벙어리(미에트)이다. (말못하는 여자의 미덕만큼 괴귀한 미덕이 어디있던가 말이다...) 여자같지 않은 여자 (쥐디트)이다.... 아님 로리타류의 아직 여자가 아닌 여자(에블린) .이다....

음...삐뚤어진 여성관을 가진 남자가 그려내는 미래사회는 보기에 참 불편하다........그럼에도 작가의 가치관을 가장많이 투영하고 있는 임마뉘엘이 여자들한테 사랑받는 존재로 그려지는 것은....왠...왕자병이란 말이지....하는 웃긴 생각도 든단 말이다....

사실 오래된 SF를 읽는 고통은, 50,60년대 영화를 보는 고통에 거의 필적한다. 긴 가짜 속눈썹들을 붙이고, 어머머~를 연발하는 내숭을 떠는 여자들을 보는 고통말이다...ㅎㅎㅎ

2000년도에 읽기에 시대착오적이다. 차라리 프릐벨 치하의 라로크의 공동체가 더욱 현실적이다. 내가 너무도 냉소적인건가....하지만 작가가 이 작품을 쓴 이후 20년이 넘는 동안 그새 인류 역사에 새로이 축적된 유산을 보아하건대 - 무너진 공산주의, 이합집산하는 민족주의 - 원시 공산주의 공동체라니 말이다... 미명(美名)일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충사 1
우루시바라 유키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그것이 귀신이든, 벌레라 부르는 존재인건, 인간이 아닌 타자들을 그리고 있고, 작가의 시선이 타자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과의 공존을 그린다는 점에서 무척이나 맘에 드는 만화다.^^

인간들 중엔 늘....그런 류들이 있지 않은가. 구태여 경계선 밖으로 나가려하고 그러다 자신의 정체성까지 위협을 당하지만서도 늘...가까스로 가까스로 자신을 유지해가며 경계에서 살아가는 '용기'를 자닌 사람들 말이다. 타자와 동화되는 것도, 기존의 혹은 다수의 정체성에 자신을 함몰시키지도 않고 살아가는 삶은, 비록 이 만화가 일본 전통적 정서에 많이 기반을 두고 있다 할지라도, 길이 없어서가 아니라 외려 갈이 너무도 많아서 길을 잃은 현대인들에게, 일침을 주지 않을까 싶다. 간만에 나온 훌륭한 작가다.^^ 흐뭇흐뭇,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물 1 이외수 장편소설 컬렉션 6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현세의 불행의 원인을 전생으로 환원시켜버리면, 해결의 매듭은 현세에서 찾을 수 없다. 벽오금학도나 황금비늘은 물질문명에 찌든 일상에 갇힌 사람들에게 초월적인 시선을 한번, 갖게 해준 의의가 있었다. 하지만.... 초월적 시선은 이따금 있어야 의미기 있는 거다. 전생의 무게로 현세를 질 필요는 없지 않은가 말이다. 전생에 집착해서 현세를 망친 사람이 괴물이라고 하는 게 났겠지...이젠 구원을 찾아 볼수 있는 초월적 시선이 이 작품엔 없다. 그게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탈 드래곤 1
아시베 유호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첫번째 놀람은, 일본인이 어찌 서구 신화에 이리도 해박할까... 하는 것이고, 두번째 경이는, 기존의 영웅 설화와는 사뭇 다른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영웅으로 태어나 그를 영웅으로 만들어 줄 괴물을 희생삼아 영웅의 신화를 만들어내는 구조 말이다.

주인공은 여려 보이는 소녀이고, 한때 세계의 끝이라 불리었던 미지의 땅(아일랜드)에서 문명의 세계 로마로 / 무의식의 세계에서 의식의 세계로의 여행을 하고 있다. 대개 신화의 주인공들은 의식의 세계에서 무의식의 세계로의 하강,을 통해 괴물과 조우하고 괴물의 피를 발판삼아 영웅 자리에 오르게 되어 있다. 하지만 아리안 롯드는 좀 더 넓은 세계로, 좀더 체계적인 훈련을 하나씩 받으며 문명의 세계로 한 걸음씩 한걸음씩 나아간다.

이 만화 세계 속의 악은 봉인되었던 고대의 신이, 인간의 나약함과 그레 빌붙는 권력에의 무한한 의지(?^^ 넘 20세기 적인 표현인가????)와 융합해 꽈리를 틀고 있는 계곡의 부족 / 바라로 축약된다 - 계곡의 부족의 땅속 동굴에 사는 것은 걸맞는 설정이고, 바라의 나약함에, 그리고 나약했기에 절실했던 권력에의 의지에 빙의된 고대의 신은 스멀스멀 세상으로 세상으로 기어나온다. 하지만, 주인공은 동굴로 하강해 괴물과 조우하는 데서 도망을 해 멀리멀리 문명으로, 이성으로 여행을 해간다...

짐작건데....^^ 여행의 시작은 레기온이다. 아마도 레기온이 고대 신의 힘으로 세력을 뺏긴 크리스탈 드래곤의 본체 혹은 정령일 것 같은데, 불의 용도, 물의 용도 아닌 이 수정 용은.....바라보고 관조할 수는 있지만, 역시 역사를 만드는 건 인간의 몸을 빌려서 가능한가 보다.

한때 사그러져 갔던 고대 신들이 되살아난 것은 엄연한 반동일진대, 이성과 문명에 밀려 사라질 운명임을 아는 땅끝의 정령들과 요정들은 흐름에 거스르지 않고 어찌 악을 막으려고 하는지 말이다....성육신한 고대의 피(?)인 아리안이 문명의 힘으로 부활할 때...나 가능할까 말이다.ㅎㅎ

어린시절 단 두권읽은 것만으로 강렬한 이미지로 꿈으로 반복되던 이 만화의 모티브가
어떻게 끝날지는 두고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향수 (양장)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강명순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그것이 내가 아는 유일한 사랑법이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다. 사랑받아본 자만이 사랑할 수 있다는 악순환이 죄라고 말하고 싶다. 결국 자신이 사랑한 방식대로 사랑을 받으며(?) 종지부를 찍을 수 밖에 없지 않은가. 내가 아는 사랑법이 이렇게 초라하구나, 사랑받을만한, 이란 형용사를 내게 대입시킬수 있을 만큼 난 사랑을 받았으며, 또 그만큼 사랑할 줄 아느냐고 묻는다면, 마구 서글퍼진다. 윤리의 잣대를 픽션에 가져다 대고 싶지 않다. 그건 무모한 짓이다. 다만.... 내 사랑의 방식이 날 파멸시키지 않았음 좋겠다고 생각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