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보는 하이데거
한상연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이데거가 현대 철학에서 가지는 위치는 과연 어느정도일까요?

오늘 아침 3권의 책을 만나면서 빼놓지 않고 등장한 철학가 하이데거.

그동안 제가 하이데거라고 하면 생각드는 것은 어려움, 복잡함, 난해함 입니다.

 

그런데 정말 하이데거는 이렇게 난해한 철학가이기만 한 것일까요?

하이데거를 그림속에서 만날 수 있는 책이 나왔다고 하여 기대가 됩니다.

설마 하이데거를 그림으로 그렸다고 생각하시는 것은 아니겠지요?

 

『그림으로 보는 하이데거』는 위대한 그림들에 대한 철학적 해설을 읽어 나가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하이데거의 철학을 이해하도록 할 목적으로 기획된 책이다. 위대한 철학이 대개 그렇듯이, 하이데거의 철학은 결코 지적인 추론만으로 이해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그 바탕에 놓여 있는 체험적 현실을 가슴으로 생생하게 느껴 보는 것이다.

 

 

 

출판사 소개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위대한 그림들을 보면서 그 그림에 대한 하이데거식 해설을 읽으면서 과연 하이데거가 의도하는 철학적 사고체게가 무엇인지 이 책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상학, 현대 철학을 열다
신인섭 외 지음, 한국현상학회 기획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상학의 창시자 에드문트 후설과 그의 현상학을 창조적으로 변주한 5인, 마르틴 하이데거, 막스 셸러, 에디트 슈타인, 오이겐 핑크, 얀 파토치카의 철학을 갈무리한 독일 현상학을 대중에게 처음으로 소개한다. -

 

 

 

 

이 소개글만 보더라도 과연 제가 이 책을 읽을 수 있을까 라는 두려움이 앞섭니다.

과연 내가 읽을 수 있을까?

괜히 시작했다가 머리만 아파지면 어떻하지..

예전에도 철학서는 중도 포기한 적 있는데..

 

그런데 이번만큼은 꼭 완독하고 싶습니다. 공부하고 싶습니다.

제대로 읽고...

이제 누가 하이데거를 말하면.. 어떠한 철학체계를 가지고 논리를 전개했는지..

나의 뇌에 신선한 자극을 팍팍 주고 싶어지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인의 아편 세창클래식 14
레몽 아롱 지음, 변광배 옮김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들어본 철학가입니다.

철학 자체를 잘 알지는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식인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는 격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그런데 역사에 있어서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지식인이라니..

샤르트르와 친구이면서 적대자였다니..

레몽 아롱 이 분에 대해서 급 궁금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빅터 프랭클 - 어느 책에도 쓴 적 없는 삶에 대한 마지막 대답
빅터 프랭클 지음, 박상미 옮김 / 특별한서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책에도 쓴 적없는 빅터 프랭클 본인의 이야기라는 것이 그 무엇보다 마음에 듭니다.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통해 만난 그는 엄청난 의지력 그리고 정신력을 보여주었는데..

그에게 그러한 정신력을 심어준 계기는 무엇이었을까요?

코로나 19를 떠나.. 문득 문득 숨쉬는 것이 힘들다고 느껴질때... 한번 돌아볼 수 있는 그러한 책이 되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의 공화국
안드레스 바르바 지음, 엄지영 옮김 / 현대문학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명에 있어서 언어가 가지는 힘은 무엇일까요?
산크리스토발에 갑자기 등장한 아이들..
아이들이 기존 주민들과 구별되는 것은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무슨 말인지 알아듣지못하는 사람들 ..
32명의 아이들이 만들어내기 시작한 언어는 소쉬르가 주장한 이른바 언어기호와 자의성 이론과 정반대의 원리로 이루어진다고 말합니다.
"아이들의 언어는 기표와 기의가 자의적인 방식이 아니라, 필연적이고 본질적인 관계에 따라 결합되는 자리를 찾으려고 한다."

언어가 만들어진 것이 '우연'이라는 입장과는 달리 그들이 놀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왜 언어를 먼저 이야기를 한 것일까요?
32명의 아이들과 산크리스토발의 주민들을 구분짓는 것이 왜 언어였어야 했을까요?
그리고 그들이 바꾸어부른 이름으로 인해 왜 산크리스토발의 주민들은 혼돈을 느끼기 시작했을까요?

당연하다고 여긴 것들이 더이상 당연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때의 당혹감이었을까요?
[파리대왕]처럼 등장인물들간의 긴장감은 느껴지진 않지만 화자인 '나'의 심정 변화와 그의 생각들을 따라가다보면... 이 이야기가 과연 이곳에만 국한된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십대들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 과도한 줄임말 혹은 은유들에 대해 종종 문제점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와 어떻게 연결지어 볼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