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학교 | 섹스 - 섹스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보는 법 인생학교 1
알랭 드 보통 지음, 정미나 옮김 / 쌤앤파커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섹스를 입 밖으로 내어 발음 하는 것은 어쩐지 부끄러운 일이다.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도 섹스에 대해 말하는 데에는 어쩐지 조심스럽다. 이런 조심스러운 사회 분위기 탓에, 어느 순간부터는 그것에 대한 건전한 담론은 어려워졌다.

이 시리즈물 중에 이 책이 가장 많이 팔린 것은, 그 갈증 때문이 아니었을까? 행위와는 별게로 이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기회가 나에게는 없었다. 예상과 방향성은 달랐지만 역시나 흥미롭게 풀어나간 책이었다.

 

p57

섹스는 고통스러운 이분법, 즉 우리 모두가 유년기 이후에 익숙해지는 '불결함'과 '순수함'의 이분법에서 잠시 벗어나게 해준다. 섹스는 우리의 자아 중에서 가장 명백하게 더럽혀진 측면을 그 과정에 끌어들이고 그럼으로써 그 불결한 측면을 가치 있는 것으로 거듭나게 해주며, 결국 우리의 자아를 정화시켜준다.

 

-더럽다 라는 인식을 가진 부위에 입을 가져가고 쓰다듬는 행위가 우리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더러운 것이 아니라고. 그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어린 날에는 갈등이 많다.

 

p67

섹스를 통해 얻는 쾌감은 다른 사람에게서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는 과정, 그리고 행복한 삶의 요소들을 인정하고 확실히 받아들이는 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성적 흥분이란, 자신의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함께 나눌 수 있는 또 다른 사람을 찾는 순간 느끼게 되는 흥분이다. 그리고 그러한 사실은 자신에게 '섹시하게' 다가오는 것들에 대해 좀더 주의깊게 분석할 수록 더 확실하게 이해된다. 오르가슴 자체는 고독과 소외가 극복되는 짧은 순간에 최고조에 이른다.

 

-결국 섹스 또한 나를 알아가며 완성된다. 내가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알아가야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기분 좋은 느낌을 나눌 수 있다. 그러니까, 능동적이어야 한다.

 

나이 탓인지, 후반부보다는 전반부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러니까, '섹스의 기쁨' 말이다.

 

조금더 의미를 추구하는 사람이라면 읽어봐도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심취해있는 것 두가지. 홍차와 필라테스이다.

그리고 이 두가지는 내 삶의 여유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사실 바쁘거나 일에 치이고 화가 날때는 그저 커피가 답이었다. 커피도 스트레스지수가 치솟을수록 아메리카노나 드립커피로는 안되었고 믹스를 찾아댔다. 3년차 겨울부터 하니앤손스 홍차가 눈에 들어오더니 4년차 겨울엔 각종 핫티를 주문했었고

그런 강렬한 맛이 아닌 은은한 홍차의 매력을 알게 된것은 올 봄부터가 아마 본격적이었지 싶다.

나라별로 홍차 브랜드도 참 많고 브랜드마다 맛의 차이가 있는데다 각종 블렌딩에 따라 달라지는 그 미묘한 느낌이 신선했다. 관심없는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았던 홍차의 세계가 열렸달까. 티포트, 찻잔과 소서, 티캐디, 티 매저스푼 등 존재이유를 몰랐던 각종 아이템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고, 당연히 티백으로만 마셨는데 잎차를 주문하게 되었다. 모르던 세계를 알게되는 것은 너무나 신선하고 재미있다.  알면 알수록 새로운 것을 알게 되고, 작은 디테일로 내 마음의 사치를 채운다.

 

그리고 필라테스.

1년차 때 찐 8킬로 여를 빼기 위한 선택은 단연코 헬스와 닭가슴살이었다. PT를 하고 100여만원을 2번씩 쏟아부으며 때로 신선하다 느끼고 대체로 지루하다 생각하며, 스스로 운동을 하고자 마음을 다잡았지만 다잡지 못했고 시험을 핑계삼아, 아니 그 전부터 이미 의지는 없어서 힘들게 유지해오던 선은 그냥 무너졌다. 헬스장을 열심히와, 끌려오듯 다닌게 3년, 내가 얻은건 운동기구와 운동 이름, 그리고 헬스장의 운영방식인가? 가끔은 하기 싫은 운동을 하고 샤워하는게 상쾌했고 보람찼지만 그 보람은 운동의 동기부여로는 모자랐다.

올해 다시 운동을 하려고 했을때 먼저 생각난것도 사실 헬스였지만, 헬스를 생각했을때 뭔가 즐겁지가 않았다. 의지가 없어서 즐거움 찾고 있나 라고 한다면 할 말은 없지만, 즐거운 운동을 하고 싶었다. 이제 새로운 생활의 패턴을 만들어내야 할텐데 단기에 다이어트를 해야 했던 그 때처럼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할애하며 마음이 쫓기고 화이팅 넘치는 운동을 하고 싶지는 않았다.

그래서 찾아낸 필라테스. 헬스보다는 비용부담이 있지만 PT보다는 부담이 적다. 무엇보다 호흡이나 자세에 하나하나 신경을 써서 바른 동작을 하게 하는 느린 흐름이 마음에 든다. 남성적인 헬스와 다르게 예쁜 동작을 하고 싶어서 더 열중하게 된다. 여성적인 느낌이 좋다. 그러면서도 사실 바들바들 떨고 땀이 매트에 흥건해진다. 그리고 이렇게 하다보면 조금씩 늘것이고 이렇게 생활속에 묻어나는 운동이 하고 싶다.

그리고 처음사본 운동복. 5만원씩이나 하는 쫄쫄이 바지를 왜 사는건가 했는데 확실히 운동할 때 좋다. 조금더 하다가 스포츠 브라나 상의도 욕심내 봐야 겠다.

 

*모르던 세상이 나에게 다가오는 느낌=) 이것이 요즘 나의 마음 속 바람이다.

 

그리고 대기중인 새로움으로는 자전거>_<와 캡슐커피, 바리스타 수업,

그리고 언제할까를 벼르는 드로잉수업이 있다! 아 이 셀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생학교 | 일 - 일에서 충만함을 찾는 법 인생학교 3
로먼 크르즈나릭 지음, 정지현 옮김 / 쌤앤파커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윤리교과서처럼 고루하지 않고 현실과의 균형이 잘 맞추어져있다. 책을 다 읽고 강연을 보니 정리가 되고 강연또한 또 다른 맛이 있어 매력적이다.

 

1. 활기찬 삶을 위해서는 모험과 실험이 필요하다

-이 말은 나에게 inspiration을 가져와서 잊고 살던 하고싶은 두가지를 떠올려 메모를 하게 되었다. 생각하며 채워가는 살아있는 삶은 소중하니까. 능동적으로 살아감이 중요하다는 것을 잠시 잊고 살았다.

 

2. 선택의 역설

-선택안이 많은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두가지 안이 있을 때에는 비교하기 쉽고 후회도 적으나 보기가 많을 때에는 그것들을 비교하느라 피로에 빠지게 되고 결국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는 결과를 낳거나 아무거나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리고 이것을 선택해야 했을 까 혹은 저것을? 하는 식으로 후회도 많아진다:

선택에 대한 고민을 어려워하고 결국 아무거나, 라는 식의 나에게 와닿았던 내용이다. 기대치를 낮추었기에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 만족하였을까? 선택안을 좁히고 기대치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한 직업 선택의 원칙인지는 모르겠으며 다른 측면에서도 그렇다. 원칙적으로는 동의하지만. 

 

3. 일에서 중요한 것은 의미 몰입 자유

-자유가 일하면서 중요하다는 것을 이직을 해보니 알겠다. 내가 통솔할 수 있고 내 할일을 내 페이스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그리고 그 장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몰입, 집중은 일 뿐 아니라 취미 생활에서도 중요한 부분으로 느껴진다. 필라테스를 할 때 내 몸의 움직임과 선생님이 지적해주는 어깨 내리세요와 꼬리뼈 땅에 닿게,에 집중하다보면 1시간이 기분좋게 빨리가듯이ㅋ

의미는 어떻게 부여할까를 고민 중이다.

 

4. Act first, Reflect later!

-지금이 아니면 언제겠는가? carpe diem. 과 상통하는 이 말.

살아가면서 정말 진리임을 느낀다. 하고싶은 것은 일단 하자.

 

5. 직업 선택의 어려움

여러 이유보다도 선택시점의 어린 나와 지금의 나 사이의 격차. 가치관과 사고가 무르익지 않은 어린 때에 한 여러 선택, 이를 테면 이과, 문과 같은 것, 이 진로선택을 좁히며 또한 직업 선택에서도 선택하는 시점과 나는 다른 사람이므로 온전히 마음에 들지 않기 쉽다. 그 시점의 나는 무슨 생각을 했던 것일까?

 

6. 우주 어떤 공간에서 1년씩 다른 직업을 3가지 할 수 있다면 당신은?

-내가 적어놓고 깜짝 놀랐다. 삶의 부분으로 그 활동들을 할 수 있도록, 그래서 활기를 불어일으키도록 해야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종일 드라마를 보면서 펑펑 울었다. 이별이 나오면은 무조건 울고, 좋은 기억이 나와도 우니 계속 울 수밖에 없다. 그래서 머리가 띵하다. 2년이 다 되어 가는데도 새로이 튀어나오는 기억을 곱씹으며 여전히 이별중인 나는 미련하다.

어쩌면 인기가 없어서 다른 사람으로 그 자리를 못채워서인지도 모른다.

 

이래저래, 인생이 재미가 없고 쓸쓸했다. 무슨 재미로 살아야 되는지 모르겠고, 돈을 써도 그냥 그렇고. 얼굴에 대한 자신감은 바닥이고- 친구고 뭐고 부질 없다. 외롭다기 보다, 쓸쓸 한데 내 심정을 또 설명하기도 귀찮고 지치고 그래서 그냥 있었다.

 

그냥 드라마를 보면서 울면서 있었더니 머리가 띵하다.

 

시시콜콜한 일상을 나누고, 작은 일에 설레고-

처음을 나누어가는 연애가, 하고싶다.

 

삐딱한 주변에 지쳐가고, 혼자가 편해지는 지금에 나타나 주었으면- 그러면 내가 이.. 의 기억따위는 저너머로 날려버리고.

혹은 덜 떠올리며, 조금더 성숙한 모습으로 함께 할 수 있을 텐데. 라고 생각을 한다.

그리고. 결론은.

모르겠다.

모르겠어서 그냥 시간이 갔으면 좋겠다.

이 시간들이 지나면 안정적인 시간이 올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입에서 나오는 말마다 까칠. 까칠.

언제이렇게 되어버렸지? 재미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