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 한때 바글대던 국밥집에 손님이 뜸해진 오후 시간이었습니다.

주인이 한숨 돌리고 신문을 뒤적이고 있을 때 가게 문이 열리고 한 할머니와 땟국이 줄줄 흐르는

한 아이가 들어섰습니다.

"저 ... 쇠머리국밥 한 그릇에 얼마나 하나요?"

할머니는 엉거주춤 앉은 채로 허리춤에서 돈주머니를 꺼내 헤아린 뒤 국밥 한 그릇을

주문했습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밥 한 그릇!

할머니는 뚝배기를 손자가 앉은 쪽으로 밀어 놓았습니다.

소년은 침을 꼴깍 삼키며 할머니를 바라보앗습니다.

"할머니, 정말 점심 먹었어?"

"그러엄, 어서 먹어라,"

할머니가 깍두기 한 점을 입에 넣고 오믈오물 씹고 있는 동안 소년은 국밥 한 글릇을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 먹어치웠습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주인이 두 사람 앞으로 다가갔습니다.

"할머니, 오늘 참 운이 좋으십니다. 할머니가 우리 집의 백 번째 손님이세요, 저희 가게는 백 번째

손님에게는 돈을 받지 않거든요."

주인은 돈을 받지 않고 할머니에게 국밥 한 그릇을 말아주었습니다.

얼마 후, 할머니와 손자가 또 국밥집에 들렀습니다. 할머니는 이번에도 국밥을 한 그릇만 주문

했고 두 사람을 알아본 주인은 또 한번 백 번째 손님의 행운을 안겨 주었습니다.

그로부터 한 달 남짓이 지난 어느 날이었습니다. 무심코 창밖을 보던 주인은 깜짝 놀랐습니다.

할머니와 함께 국밥을 먹으러 왔던 그때 그 소년이 국밥집 길 건너에 쪼그리고 앉아

뭔가 헤아리고 있었습니다. 국밥집에 손님이 들어갈 때마다 돌멩이 하나씩을 동그라미 안에

넣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점심시간이 다 지나도록 돌멩이는 쉰 개를 넘지 못했습니다.

마음이 급해진 주인은 단골들에게 전화를 걸기 시작했습니다.

"자네, 마쁘지 않으면 국밥 한 그릇 먹으러 오라구. 오늘은 공짜야, 공짜."

그렇게 동네 방네 전화를 걸고 나자 국밥집에는 손님들이 몰려들기 시작했습니다.

"여든하나, 여든둘, 여든셋...."

소년의 셈이 빨라졌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아흔아홉 개의 돌멩이가 동그라미속으로 들어갔을때

소년은 황급히 할머니 손을 이끌고 국밥집으로 들어섰습니다.

"할머니, 이번에는 내가 사 드리는 거야."

진짜로 백 번째 손님이 된 할머니는 따뜻한 쇠머리국밥 한 그릇을 대접받고 소년은 할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깍두기만 오물거렸습니다.

"저 아이도 한 그릇 줄까요?"

국밥집 주인 아주머니가 아저씨에게 속삭였습니다.

"쉿! 저아인 지금 먹지 않고도 배부른 법을 배우는 중이잖소."

후룩후룩 국밥을 맛있게 먹던 할머니가 손자에게 말했습니다.

"좀 남겨 주랴?"

하지만 소년은 배를 앞으로 쑥 내밀고 말했습니다.

"아니, 난 배불러... 이거봐 할머니."

그날 이후 신기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국밥집에 손님이 몰려들어 정말로 날마다 백 번째 손님,

이백 번째 손님이 생겨난 것입니다.

 

(TV 동화 행복한 세상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머니는 벌써 몇 년째 앓아 누워만 계셨습니다.

그런 어머니가 어느날,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곱게 빗어 쪽진 뒤 우리 남매를 불러 앉혔습니다.

어머니는 마치 먼 여행이라도 떠나려는 사람처럼 슬픈 얼굴이었습니다.

"정수야, 누나를 부탁한다. 니가 누나의 목소리가 돼줘야 해. 그럴거지?"

"엄마, 왜 그런 말을 하세요?"

어머니는 말 못하는 누나가 마음에 걸려 차마 눈을 감을 수가 없다며 나의 손을 꼭 잡고 당부를

하셨습니다.  어머니는 며칠 뒤 우리 남매의 손을 그렇게 하나로 맞잡고는 영영 돌아오지 않을 먼

길을 떠났습니다.

그로부터 10년 세월이 흘렀습니다.

먼 친척의 도움으로 야간 고등학교를 겨우 마친 나는 서울에 직장을 얻어 상경했고 누나는

뗄래야 뗄 수 없는 혹처럼 나를 따라다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습니다. 피곤에 절어 집에 돌아온 나는 누나가 집에 앵무새 한 마리를

들여놓고 동네 아이들을 불러다가 무엇인가 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됐습니다.

"주주..주..주우....."

앵무새는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를 내고 아이들도 뭐라 말하고 있었습니다.

그 일은 그후로도 몇일이나 반복됐습니다.

"주욱 주욱....."

천식환자처럼 그렁그렁대는 앵무새는 그날부터 내 늦잠을 방해하고 신경을 건드렸습니다.

"제발, 저 앵무새 좀 치워 버릴 수 없어?"

나는 누나에게 화를 내며 말했습니다. 하지만 누나는 내 성화를 못들은체 무시해 버렸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잠에서 깬 나는 소스라치게 놀랐습니다.

"생일...추카...생일...추카.!"

앵무새는 분명히 그렇게 말했습니다. 누나가 건네준 카드에는 단정한 글씨로 이렇게 씌여 있었습니다.

'생일 축하한다. 내 목소리로 이 말을 하고 싶었는데...'.

생일축하!  목소리가 없는 누나가 난생 처음 내게 들려준 말이었습니다.

 앵무새에게 그 한마디를 훈련시키기 위해 누나는 그렇게 여러 날 비밀 작업을 했던 것입니다.

나는 쏟아지려는 눈물을 애써 감추며 입안 가득 미역국을 퍼넣었습니다.

(TV동화 행복한 세상 중에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3-17 1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_^ 그러고 보면 사람을 감동시키는 건 수려한 말이나 그런 게 아니라 따뜻한 마음인 것 같아. 게다가 이렇게 전염성까지 있으니... 좋은 글 고맙다. 성연아.
 

한동안 서재안에 아무글도 올리지 못했다... 이러면 안돼는데....

책을 읽으면 될것을.. 하지만 딱히 책을 읽는다고 해서 될 일도 아니지 싶다.

읽은 책을 되새겨서 내 느낌과 함께 적은 글을  누군가가 읽어준다는 것은 더 큰 부담이 될테니까.

오늘도 난 4학년 짜리 아들놈과 책읽기에 대해 실갱이를 버린다. 제발 책좀 읽으라고 다그치는 나에게 선심이라도 쓰듯 아들놈은 책장을 쭈욱 훌터 제일 얄팍한 한권을 들고 사라진다.

그러기를 10분 남짓 어느새 닫힌 방안에선 두런두런 tv소리가 난다.  이것을 어찌해야 좋을까 불끈 해서 일어서는데 .... 아차! 나 또한 무심결에 켜놓은 tv앞에서 일어나는것이 아닌가!

그래, 그럼 그렇지.. 내 아들이 날 닮았지 누굴 닮았을까... 허허 웃음이 나온다.

어느새 책 속에서 재미를 찾기 보다는 tv앞에서의 재미를 먼저 알아버린 내 아이들을 이제는 내가 먼저 책 앞에 앉아있는 거울이 되어 책속의 많은 세상을 경험하게 이끌어야 한다.    좋은 방법 없을까?

내 스스로 책읽기가 부담스럽지 않을때 비로서 날 똑같이 닮은 내 아이들도 잔소리 없이도 책앞에 앉아있는 날이 오겠지.. ....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3-09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쁜 성연아. 며칠 전에 있잖아. 남편이랑 영화보러 다녀왔다구 그랬자너. 난 남편이랑 애가 영화 보러 간다구 그러면 무슨 돈이 남아돌아서 영화를 보러 다니냐구, 비디오 나오면 보면 되지, 자기들이 무슨 갑분줄 알어... 막 그러거든. 근데 그 날은 너희 닭살부부 영화관람기에 자극 받아서, 나도 성연이네처럼 둘이서 영화보러 가구 싶당, 그랬당. 그래가지구 조만간 크라이스트... 그거 볼 거얌. 에고.. 책 얘기하는 애 앞에서 내가 영화 얘기나 잔뜩 하구 있네... 근데 모... 책 얘기 아닌 얘기 해두 되지? 그래두 쫌 눈치 보인당. 먄. 이르케 분위기 파악이 안 돼갖구서야... 그니까요... 그게... 나란 인간이 원래 인류에 별 도움이 안 되는지라... 헤헤.

sungcho 2004-03-09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선아, 잊지않고 찾아줘서 고마워.
아마도 네가 이 서재의 존재를 나에게 알려줬기때문에 너 역시도 내가 잘 하고있는지, 잊지는 않았는지, 부담이 되는건 아닌지몰라,,, 내가 잘 꾸려나가야 되는데 이렇게 게을러서야 어디 방 주인 노릇이나 하려는지.... 에구, 영선아, 너도 남편이랑 영화보는거 한번 해봐, 그거 생각보다 좋더라구 우리 부부도 첨엔 좀 걱정도 되고 쑥스럽고 했었는데 두어번 해보니까 고때만은 신혼같은 느낌이 들어서 안끼던 팔짱도 끼고 걷고 했거든.,,, 사실 영화도 영화지만 분위기가 더 좋아, ...여기다 영화감상 이야기 쓰라면 좀 할 수있을까? 영화는 자주 보니깐...히히히..

비로그인 2004-03-09 1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그래! 그거 너무 좋은 생각이다. 그 영화감상문 여기다 옮기는 거부터! 너의 영화 이야기 너무 너무 좋았어. 전에도 한번 이 방에서 너의 다른 면을 봤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거 읽으면서는 또 다른 한면이라고 생각됐었거든. 으쌰으쌰!

좋은사람 2004-03-10 1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연아 올만에 나도 왔단다 ㅎㅎ 그새 영선이도 다녀갔네..
요즈음의 나는 나 속에 잠겨 나를 바라보느라 바뻐서 다른이들을 둘러볼 새가 없었거든...
그래서 너의 그 남편이랑 둘이 보러간 영화 이야기...잘 모르겠네 ㅠㅠ
암튼 영화 이야기 기대할께..
글구 영선아 ..빨랑 갑부가 영화관에 가서 돈 풀어라~~

좋은사람 2004-03-10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그러고..울 아들들은 무지 책을 좋아하는데..
내가 써 본 방법을 소개하면..
일단 책의 도입부분을 엄마가 같이 나란히 앉아서 읽어주는거야..
아무리 쉬운 책이라도 감정을 넣고 재미나게 말이야..
그러면 그 나머지 부분이 궁금해져서 아이들이 저절로 읽더라구..
다음엔 어려운 책이라도 이렇게 시작하면 아이들이 집중하게 된단다..
사실 나도 이러다 보니 아이들 책이 무지 재미있어져서 읽게 되었지..
한국책도 그랬고 이제는 영어책도 그래..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나면 나랑 아이들이랑 그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할수 있거든..
그러면 아이들이 미쳐 생각지 못했던 부분을 나랑 이야기하고 발견하게 되고
아이들은 그걸 신기해하지..또 나랑 대화가 통하는 걸 느끼게 되고..
근데 영어책은 여기 와서 진도가 한국책 만큼 안 나길래..내가 상금을 걸었지..
영어책 10권을 읽으면 20불 상당의 선물을 고를 수 있다고 말야..
사실 그만큼 읽으려면 5학년인 큰아이에게는 거의 한달이 걸리더라..
근데..한달에 한번쯤이면 아이들에게 뭔가 필요하거나 사고 싶어하는게 생기게 마련이잖니..
뭐 카드라던가..할로윈 커스텀이나..새 운동화등등
그래서 책을 다 읽을때를 기다려 생색을 내면서 사주는 거야..
이제는 울 아들 사고 싶은 것도 많이 사고 읽는 것도 많이 읽어서..
그 돈을 모아서 연말에 한번 크게 쓰려고 한다..
큰아들은 선수들이 쓰는 200불짜리 아이스하키 스틱이 무지 갖고 싶다는데..
무지 비싸고 우리 분수에 맞지 않는 거지만..책을 읽고
일년에 한번 꿈같은 스틱을 가질수 있다면 그나름대로 의미가 있겠다 싶어서 생각 중이란다..
도움이 되었길 바래 ^^

sungcho 2004-03-10 1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현경아, 좋은방법 고마워.
우리 아이들 책읽는 습관을 길러주려면 그래, 나부터 고쳐야 될꺼야, 날 보고 배우니까...
같이 읽기 한번 해볼려고해. 그런데 내 영어 실력으로 될수 있을지 미지수네.
그래도 열심히 해볼께.

비로그인 2004-04-07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Laurence Cleyet-Merle
자주 가는 웹사이트 illustrationweb.com에서
찾은 아이들 책그림.
여기 가끔 와서 논다..
 

어쩜 이렇게 생각이 안날까?

한번 읽은 책은 다시 읽는 법이 없는 나쁜 버릇을 가지려면 기억력이나 좋을것이지 ... 새로산 책처럼 10년도 더 지난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새록새록 나에게 실망을 하는중이다.

눈꽃

나는 책을 잘 모른다. 그래서 난 항상 책을 고를때 누구나 다 알고있는 이름의 작가 책을 고르곤 한다. 역시 책에 문외안인 내가 좀더 쉽게 흥미를 갖기위한 자구책일것이다. 

눈꽃은 드라마 작가로 더많이 알려진 김수현씨의 소설이다. 아마도 내가 처음 미국에 와서 영어에 지치고  치여서 쉬고싶던차에 한국 서점에서  반갑게 골라든 책이였지싶다.  모든 책을 읽을때 건성 건성 급한 성격대로 읽는 나에게 김수현씨의 말할수 없이 쏘는듯한 문장은 시원 시원하게 말못하는 내 영어 벙어리 시절에 내대신 쏟아붓는 경쾌함이 느껴져서 좋았던 기억이 난다.

책속의 주인공인 작가라는 직업의 엄마와 다미라는 이름의 딸이 첨부터 끝까지 서로를 긁어가며 퍼부어대는 엄청나게 치명적인 대화가 주를 이루는 이책은 너무나 사랑하지만 자꾸만 표현에 있어 서로 엇나가는 모녀의 아픈 사랑이야기이다. 아버지의 이중결혼으로 이혼한 엄마의 이혼 이유를 모르며 받지 못하고 자란 부정을 아쉬워하며 엄마를 의식적으로 괴롭히는 딸의 시각과 그토록 잘 안다고 여겼던 사랑하는 딸에게 호되게 상처를 입으며 또다른 모녀지간의 사랑을 키워나가는 이야기 이다.

아직 다 끝내지는 않았지만 어렴풋하게 생각 나는듯도 싶다.  결국 작가 엄마는 암에 걸려 딸에게 더 아픈 죄책감의 상처를 남겨주고 딸곁을 떠나는 결말.

그때는 나에게 자식이 없었으니 가슴에 와 닿기 보다는 이야기의 끝이 궁금해서 책장을 얼른 얼른 넘겼었다면 지금은 조금 다른 시각으로 보는것이 사실이다. 물론 상황은 다르지만 내 딸이 나에게 이렇게 한다면 ....난 어떨까? 내지는, 책속의 엄마가 딸에게 바랬던 평범한 여자의 삶을 나도 내 딸에게 바라면서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다시 읽고 있다.  아마도 난 끝나는 부분즈음 가면 울게 될것이다. 분명 슬픈 책일테니까...  갑자기 이런 생각이 났는데 이렇게 결과를 알고 책을 읽는 느낌 또한 나쁘지 않구나 하는 생각.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2-04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로는 쏘면서도 이상하게 마음으로는 정이 느껴지게 하는... 김수현의 대사는 그런 거란 생각이 드네. 언젠가 읽었던 김수현의 수필집에 친구 이야기가 하나 있었거든. 뭔가 뜻이 안 맞아 서로 티격태격하면서 감정까지 상하구 그랬대. 주위에서들 말리고 그래서 이차저차 한수씩 접고 식당에 가 자리에 둘러앉았는데 그 친구가 생선찌개 그릇에서 커다란 생선 하나 숟가락으로 떠주면서 옛다, 너 이거 먹어라, 그랬단다. 그니깐, 뜻이 다를 순 있어도 정은 남겨놓는 친구, 뭐 이런 의미였던 듯... 난 이런 친구가 좋다, 이런 글을 읽은 적이 있는데, 별거 아닌 것 같은데도 이렇게 오래 맘에 남는 걸 보면 나 정말 김수현 왕팬인가봐.

Emerald Green 2004-02-06 0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그 책 읽었던 기억이 난다. 아님,비슷한 수필이었는지도..김 수현씨 상황하고 많이 비슷하거든. 이혼하고 딸하고 살고..딸이나 엄마나 예민해서 뭔가에 열중하거나 스트레스 받으면
머리카락 쥐어뜯는다는 부분이 기억에 남았지..^^ 김 수현이 내 취향은 아니다만..오랫만에
네 글을 접하니 기쁘다~

sungcho 2004-02-06 07: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희야 맞아, 나도 읽으면서 혹시 김수현이 자기 이야기를 쓴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었거든. 책의 결말은 엄마의 죽음으로 끝나는데 가위로 싹뚝 잘라버린 느낌이 들 정도로 끝이 허망하게 끝이 나서 아쉬웠단다. 아마도 책 속에 누누이 얘기했던 신파나 구질스러운 느낌을 읽는 독자들이 느끼는것 조차 싫어하지 않았나 싶더구나. 그래도 난 영선이 처럼 김수현 왕팬이란다. 어떤이들은 말장난 이라고도 하지만 난 그 말장난이 너무 신기하리만큼 시원할때가 많거든.
 

내 서재가 있는지도 모르며 들어온 내 서재...

벌써 다정한 친구들이 다녀간 흔적이 남아있고, 난 얼굴이 빨개졌다.

이젠 소설가가 된 내친구 영선이, 그리고 너무 추운 캐나다를 따듯한 맘으로 녹이며 사는 미희...그 외에도 많은 나의 친구들...

먼지 쌓인 자판기를 쓱~ 딱고나서 배우기 시작한 컴퓨터가 소개해준 내 친구들이다. 아직 만나보지는 못했지만 소담스런 가정을 꾸려가며 맛나게 살아가는 모습들이 내 눈엔 보인다.

소심하고 자신감 없어하던 내가 눈에 띄게 달라졌다고 남편은 컴퓨터속 내 친구들을 고마워해주고 난 그덕분으로 하루가 다르게 신 여성이 되는듯한 착각으로 하루 하루 살고있다.

아직 중년이라 불리기엔 너무 억울한 서른 여덟.  맘 같아서는 아무도 내 나이만큼 안봐줬으면 하면서도 그런 맘을 품엇다는 자체가 자존심 상하기도 한 어설픈 나이에 서있다.

항상 글을 쓰면 시작은 그럴듯한것 같은데 마무리를 힘들어 하는 내 나쁜 습관을 여기 이곳에서 고칠수 있기를 바라면서 내 첫 페이퍼를 닫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merald Green 2004-01-23 1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연아,우리 같이 신여성이 되자..ㅋㅋ..나도 요즘 너희들이 없었다면 무슨 낙으로 살았을까
싶어..얼굴 한본 못 본 우리가 이렇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거 넘 좋지 않니?

sungcho 2004-01-23 12: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희야, 히히..
너무 쑥스러운거 있지?
미시에 글을 올렸을때완 사뭇 다른 느낌이야. 왜지?

비로그인 2004-01-23 14: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연아. 너무 좋다. 올때마다 분위기가 달라지네... 리스트도 많이 생기고... 여기서 너의 새로운 면을 보는구나.

sungcho 2004-01-23 2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선이도 왔네?
있잖아, 미시에 글을 썼을때완 또 느낌이 달라,
옛날에 내가 숨겨두고 열쇠로 잠거놓았던 내 일기장에 쓰는거처럼 누군가 다녀가고나면 얼굴이 화끈거려. 이상하지?
내가 얼만큼 지속적으로 이곳을 쓸고 닦을지는 모르지만 지금은 좋아, 아무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