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점심 한때 바글대던 국밥집에 손님이 뜸해진 오후 시간이었습니다.

주인이 한숨 돌리고 신문을 뒤적이고 있을 때 가게 문이 열리고 한 할머니와 땟국이 줄줄 흐르는

한 아이가 들어섰습니다.

"저 ... 쇠머리국밥 한 그릇에 얼마나 하나요?"

할머니는 엉거주춤 앉은 채로 허리춤에서 돈주머니를 꺼내 헤아린 뒤 국밥 한 그릇을

주문했습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밥 한 그릇!

할머니는 뚝배기를 손자가 앉은 쪽으로 밀어 놓았습니다.

소년은 침을 꼴깍 삼키며 할머니를 바라보앗습니다.

"할머니, 정말 점심 먹었어?"

"그러엄, 어서 먹어라,"

할머니가 깍두기 한 점을 입에 넣고 오믈오물 씹고 있는 동안 소년은 국밥 한 글릇을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 먹어치웠습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주인이 두 사람 앞으로 다가갔습니다.

"할머니, 오늘 참 운이 좋으십니다. 할머니가 우리 집의 백 번째 손님이세요, 저희 가게는 백 번째

손님에게는 돈을 받지 않거든요."

주인은 돈을 받지 않고 할머니에게 국밥 한 그릇을 말아주었습니다.

얼마 후, 할머니와 손자가 또 국밥집에 들렀습니다. 할머니는 이번에도 국밥을 한 그릇만 주문

했고 두 사람을 알아본 주인은 또 한번 백 번째 손님의 행운을 안겨 주었습니다.

그로부터 한 달 남짓이 지난 어느 날이었습니다. 무심코 창밖을 보던 주인은 깜짝 놀랐습니다.

할머니와 함께 국밥을 먹으러 왔던 그때 그 소년이 국밥집 길 건너에 쪼그리고 앉아

뭔가 헤아리고 있었습니다. 국밥집에 손님이 들어갈 때마다 돌멩이 하나씩을 동그라미 안에

넣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점심시간이 다 지나도록 돌멩이는 쉰 개를 넘지 못했습니다.

마음이 급해진 주인은 단골들에게 전화를 걸기 시작했습니다.

"자네, 마쁘지 않으면 국밥 한 그릇 먹으러 오라구. 오늘은 공짜야, 공짜."

그렇게 동네 방네 전화를 걸고 나자 국밥집에는 손님들이 몰려들기 시작했습니다.

"여든하나, 여든둘, 여든셋...."

소년의 셈이 빨라졌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아흔아홉 개의 돌멩이가 동그라미속으로 들어갔을때

소년은 황급히 할머니 손을 이끌고 국밥집으로 들어섰습니다.

"할머니, 이번에는 내가 사 드리는 거야."

진짜로 백 번째 손님이 된 할머니는 따뜻한 쇠머리국밥 한 그릇을 대접받고 소년은 할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깍두기만 오물거렸습니다.

"저 아이도 한 그릇 줄까요?"

국밥집 주인 아주머니가 아저씨에게 속삭였습니다.

"쉿! 저아인 지금 먹지 않고도 배부른 법을 배우는 중이잖소."

후룩후룩 국밥을 맛있게 먹던 할머니가 손자에게 말했습니다.

"좀 남겨 주랴?"

하지만 소년은 배를 앞으로 쑥 내밀고 말했습니다.

"아니, 난 배불러... 이거봐 할머니."

그날 이후 신기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국밥집에 손님이 몰려들어 정말로 날마다 백 번째 손님,

이백 번째 손님이 생겨난 것입니다.

 

(TV 동화 행복한 세상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머니는 벌써 몇 년째 앓아 누워만 계셨습니다.

그런 어머니가 어느날,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곱게 빗어 쪽진 뒤 우리 남매를 불러 앉혔습니다.

어머니는 마치 먼 여행이라도 떠나려는 사람처럼 슬픈 얼굴이었습니다.

"정수야, 누나를 부탁한다. 니가 누나의 목소리가 돼줘야 해. 그럴거지?"

"엄마, 왜 그런 말을 하세요?"

어머니는 말 못하는 누나가 마음에 걸려 차마 눈을 감을 수가 없다며 나의 손을 꼭 잡고 당부를

하셨습니다.  어머니는 며칠 뒤 우리 남매의 손을 그렇게 하나로 맞잡고는 영영 돌아오지 않을 먼

길을 떠났습니다.

그로부터 10년 세월이 흘렀습니다.

먼 친척의 도움으로 야간 고등학교를 겨우 마친 나는 서울에 직장을 얻어 상경했고 누나는

뗄래야 뗄 수 없는 혹처럼 나를 따라다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습니다. 피곤에 절어 집에 돌아온 나는 누나가 집에 앵무새 한 마리를

들여놓고 동네 아이들을 불러다가 무엇인가 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됐습니다.

"주주..주..주우....."

앵무새는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를 내고 아이들도 뭐라 말하고 있었습니다.

그 일은 그후로도 몇일이나 반복됐습니다.

"주욱 주욱....."

천식환자처럼 그렁그렁대는 앵무새는 그날부터 내 늦잠을 방해하고 신경을 건드렸습니다.

"제발, 저 앵무새 좀 치워 버릴 수 없어?"

나는 누나에게 화를 내며 말했습니다. 하지만 누나는 내 성화를 못들은체 무시해 버렸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잠에서 깬 나는 소스라치게 놀랐습니다.

"생일...추카...생일...추카.!"

앵무새는 분명히 그렇게 말했습니다. 누나가 건네준 카드에는 단정한 글씨로 이렇게 씌여 있었습니다.

'생일 축하한다. 내 목소리로 이 말을 하고 싶었는데...'.

생일축하!  목소리가 없는 누나가 난생 처음 내게 들려준 말이었습니다.

 앵무새에게 그 한마디를 훈련시키기 위해 누나는 그렇게 여러 날 비밀 작업을 했던 것입니다.

나는 쏟아지려는 눈물을 애써 감추며 입안 가득 미역국을 퍼넣었습니다.

(TV동화 행복한 세상 중에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3-17 1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_^ 그러고 보면 사람을 감동시키는 건 수려한 말이나 그런 게 아니라 따뜻한 마음인 것 같아. 게다가 이렇게 전염성까지 있으니... 좋은 글 고맙다. 성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