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프치크 활쓰기 1권 (Op.2-1)

4번의 변곡 3번

참 이상해. 세프치크는 집에서보다 거기서 더 잘 되고 레슨 받을 때 더 잘 된다. 웃겨 정말. 그래도 4분음표 온활 써가며 스타카토 하는 건 어렵다. 더구나 속도가 ♩=50으로 느린걸.


호만 1권

37번 인형의 자장가

맨 밑에 있는 4분음표 4개 슬러는 음이 깨끗하게 나질 않는다. 맘에 안 들어. 제1바이올린보다 제2바이올린이 더 쉬운 것 같다. 셋째 줄 다섯째 마디에서 파라 슬러의 라는 4번 손가락 말고 그냥 0번으로 할 것.

37번 셋째 줄에 시 플랫이 달려서 영어 악보를 확인해 봤는데 거기엔 시 플랫이 없다. 그래서 이거 갖고 선생님하고 얘기를 해 봤는데 선생님은 플랫이 달린 게 음이 맞다고. 다장조만 나오다가 갑자기 플랫이 달린 게 이상하긴 하지만 세광에서 난데없이 플랫을 붙인 걸 보면 이유가 있으니 붙였겠지. 내가 가진 게 세광 거보다는 오래된 악보일 테니 틀렸을 수도 있고, 시 플랫을 붙이는 게 맞는 것 같기도 하지.

다음엔 43번까지 연습해 오기. 43번은 두 줄 모두 연습. 근데 43번은 시노자키 1번에 있던 거다. 그때 제목은 물레방아였는데 활쓰기가 좀 다르다.


스즈키 2권

반주 악보를 깜빡하고 두고 가는 바람에······.

브람스의 왈츠.

첫 줄 셋째 마디에 있는 꾸밈음에 대한 지적. 앞의 도 음이 세고 꾸밈음은 살짝 들려야 하는데 난 반대로 꾸밈음이 더 세게 덜린다네. 선생님의 시범 연주를 들으니 알겠더라구.

헨델의 부레.

크레센도나 포르테가 나오면 활을 크게 써서 소리를 크게 했는데, 그것과 함께 활도 검지손가락을 써서 세게 눌러줘야 한단다. 소리의 굵기라고 했었나 뭐 그랬던 것 같네. 활만 크게 쓰는 걸로는 부족하다고 하네. 오른손에 힘을 빼고 선생님이 내 손을 잡고 직접 활을 눌러 해 봤는데 누르는 힘이 장난이 아니다. 내가 그 힘으로 연주하면 소리가 꽥꽥거릴 것 같다. 바이올린 줄이 오래 버티지 못하는 이유를 알겠다. 내가 바이올린 배우는 데서는 내가(나만) (거의) 가장 소리가 (어마어마하게) 큰 편이라서 좀 신경이 쓰였는데 내 소리가 큰 게 아니었던 거다. 어쨌든 이거 다시 연습.

이 날은 새로 온 사람이 몇 사람 있어서 좀 정신이 없긴 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기심 2010-07-21 16: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기 잘못아셨는데요 바이올린줄이 오래버티지못한것은요 습기가있어서그래요 바이올린줄에 습기가있으면 금방 끊어진답니다. 그런걸 방지하기위해서는 물수건으로 일주일에 2번씩(월목으로 하시는게 좋씁니다.)닦아주시던가 '물먹는 하마'를 사서넣어주신는게 좋습니다.(교수님이그러심....)

sulfur 2010-07-27 03:16   좋아요 0 | URL
그게 아니라, 힘을 많이 주니까 줄이 금방 닳는다구요. 소리가 나빠져서 몇 달마다 줄을 바꾼다길래요.
그런데 줄을 물수건으로 닦아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