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일, 2포지션에 붙인 테이프를 떼냈다.

라줄의 도 음이 높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리고 이 날, 새 책에, 무려 세 권이나 들어갔다. 꼭 바이엘 끝내고 체르니 30번에 들어갈 때 같다.


셰프치크 활쓰기 1권 (Op. 2-1)

4번 75개의 변형에 의한 2분음표 연습 중 변주곡 1번

솔줄의 시플랫 음이 좀 안 맞기도 했지만 통과. 다음 주에는 변주곡 2번 연습해 오기.



호만 1권

27~35번

28번의 슬러를 윗반활로만 연습했는데 이건 그냥 온활로 하라네.

35번에서 2분음표 박자를 잘 지키기. 다음 주에는 36번 연습해 오기.



스즈키 1권

고세크의 「가보트」

앞부분의 스타카토가 이어진 부분은, 스타카토 길이가 일정하지 않다고 한다.

그래도 연습엔 장사가 없나 보다. 16음표 4개가 슬러로 이어진 부분이 조금이긴 하지만 나아진 걸 내가 느낀다. 연주가 좀 쉬워지기도 했고.



스즈키 2권

드디어 스즈키 2권이다. 이번 주에는 CD를 한번도 듣지 못했다. 오디오에 먼지가 뽀얗네. 대신 인터넷에서 연주 동영상만 여러번 봤다. 하여 피아노 반주가 어떤지 몰라, 레슨 받기 전에 피아노 반주를 살펴봤다는 거 아녀.

헨델의 「개선의 합창」

포르타토가 슬러처럼 너무 부드럽다고. 좀 더 분명하게 할 것. 셋째 줄 미레#미솔 부분을 부드럽게 할 것.

이 노래는 시노자키 1권에서 했던 거라, 그때와는 악보가 다른 부분이 네 마디밖에 안 돼서 연습하기에 아주 좋았다.

바흐의 「뮈제트」

집에서 연습할 때는 메트로놈 70에 놓고 했는데, 메트로놈 끄고 할 때는 그것보다 빨라지고, 레슨받기 전에는 그것보다 더 빨라지더니, 레슨받을 때는 그것보다도 더 빨랐다. 그래서 중간 부분에선 정신이 없었지. 이 속도로, 반주에 끌려오지 않을 만큼, 잘 연습해 오기.

그리고 마지막 줄, 라(2분음표)-라(4분음표)에서는 활을 바꿀 것. 활을 바꾸지 않고 끊는 식으로 연습을 해 갔거든.


스즈키 2권은, 1권에 비해 좀 더 빠르게 연습하라고 했다.


바이올린 연습을 하다 보면 저절로 외워진다. 그런데 통째로 외우기 전에는 어떤 부작용이 있는가 하면, 외운 부분은 악보를 보지 않고 그냥 연주한다. 그러다가 외우지 못하는 부분이 되면 악보를 쳐다보는데, 문제는 악보의 어느 부분인지 찾지 못한다는 것. 결국 그 부분이 되면 버벅거릴 수밖에.

이 얘기를 했더니, 설령 악보를 외우더라도 악보는 그대로 보고 연주해야 한단다. 아니면 오케스트라를 연주한다거나 할 때 어떡할 거냐고? 통째로 외울 수도 없고. 내가 오케스트라 연주 비슷한 걸 하게 될지 미심쩍긴 하지만, 그걸 떠나서 악보를 따라가며 연주하는 습관을 들여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