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사 강의 세트 - 전3권 한국고전문학사 강의
박희병 지음 / 돌베개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턴가 사회과학서들을 손에 잡으면서 시와 소설책들은 자연스레 멀어졌다. 도착한 박희병 교수의 《한국고전문학사 강의》를 펼치니 낯설기까지 하다. 문학사를 처음 접한 건 아마도 도남 조윤제 선생의 《국문학사》였던 듯하다. 국어국문학을 전공한 손위 형 덕분이다. 그러다가 계간지 ‘문학과 지성’에 연재되던 김윤식, 김현 공저 《한국문학사》를 읽을 수 있었다. 새로운 세계가 펼쳐지는 듯했다. 당시 이기백 선생의 《한국사 신론》을 함께 읽었더랬다. 그땐 나도 ‘문청’이었을까. 시인 황지우는 쉽게 읽히지 않는 이인성의 소설이 제법 많이 팔리자 어디선가 그들이 ‘멍청’이로 읽힌다며 놀리기도 했던 시절이었다.

원시반본(原始返本)이랬다. 증산 강일순은 인간의 삶이 근본을 떠나면서 시작되지만 반드시 인류생존의 근본으로 회귀한다고 하지 않았던가. 이젠 한국문학사를 다시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인다.

개설서는 아무래도 막 학위를 취득한 소장학자가 자신의 방법론을 가지고 패기만만하게 논지를 펼치거나, 정년을 앞둔 학자가 일필휘지로 그려내는 노회한 솜씨가 구미를 당기게 하는 법이다. 이 책은 박희병 교수가 정년을 앞두고 강의한 내용을 정리하여 출간한 것이다. 서문을 읽고 목차를 일별하는 것만으로도 설렌다.

선생은 고전문학사에서 문학이란 근대문학에서 규정하는 문학의 의미와 크게 달라, 근대문학에서 문학에 포함시키지 않는 여러 다양한 장르들이 문학으로 간주된다며 얘기를 시작한다. 문학사는 ‘문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다루는 학문분야이며, 크게 ‘주제’와 ‘형식’의 측면에서 그 전개과정을 살피는 것임을 언명하고 있다. 강의는 무려 32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시대 전개과정에 따라 강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어떤 기준에 의해 (시대)구분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미흡해 아쉽다. 선생은 진작부터 국문학 연구의 외연을 사상사와 예술사 연구로까지 확장함으로써 통합인문학으로서의 한국학 연구를 해 오고 있으며, 시각이나 입장에 따라 '여러 개의 문학사'가 가능하다는 논지를 견지하고 있지만 그들 역시도 역사의 한 분야일진대 시대의 특징에 따라 세밀한 구분과 함께 들여다 보는 것이 마땅치 않는가 하는 생각에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도철학과 불교 불교입문총서 20
권오민 지음 / 민족사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경이롭다. 모니터를 줄창 들여다 보다가 눈이 침침해져 마당으로 나서니 사위에 풀벌레소리 가득한데 뒷산 수풀 작은 불빛들이 명멸한다. 늦반딧불이다. 큰아이와 애반딧불이 구경하러 절길을 오르던게 어제인 듯 한데.

 

긴 가뭄으로 애를 태웠더랬는데 장마가 시작되더니 그치는 기색도 없이 어느새 가을이다. 아직도 땅이 질퍽해 가을 무 배추 파종이 늦어지고 있건만, 이는 바람엔 청량함이 깃들어 서늘하기까지 하다.

 

2. 이것도 집착인가, 빗속에 시작된 책읽기가 여지껏 계속되고 있다. 불교평론에 실린 글들을 읽다가 한국불교학에 대해 일말의 거리낌 없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어느 패기만만한 수상소감에 꽂히고 말았다. 경상대 철학과 권오민 교수의 글이었다. 그의 글 삼십여편을 갈무리하여 통독하고 나니 조금이나마 아비달마불교의 중요성에 대해 눈을 뜰 수 있었다. 예전에도 수시로 필요성은 느꼈지만, 중관과 유식을 붙잡기에 앞서 원시불교와 부파불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도 뒤늦게 절실하게 깨달을 수 있었다. 불교사와 사상사 및 경전성립사에 어두운 채 그때 그때 찾아 읽는 급한 독서가 불러온 폐해라고나 할까.

 

이어 근대불교학에 대한 몇몇 책들과 불교학회40주년 기념 특집《 불교학연구》68호에 실린 분야별 불교학 연구동향을 일별하고 나니 비로소 어떤 공부가 필요한지 다소 감이 잡힌다. 만시지탄이다. 시간이 되면 스칼러쉽이 뛰어난 매력적인 학자들의 저서를 집중적으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3.

탈식민시대 우리의 불교학, 심재관, 책세상, 2001​

불교와 불교학, 조성택, 돌베개, 2012

현대불교학 연구사, J.W. 드 용, 강종원 편역,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4

불교경전은 어떻게 전해졌을까, 심재관 외, 불광출판사, 2010

역경학 개론, 고영섭 외, 운주사, 2011

중국불경의 탄생, 이종철, 창비, 2008

인도불교사1. 2, 에띠엔 라모뜨, 호진 옮김, 시공사, 2006

중국불교사, 鎌田茂雄, 정순일 옮김, 경서원, 1996

중국불교, 계환, 민족사, 2014

일본불교사 근대, 카시와하라 유센, 원영상 윤기엽 조승미 옮김, 동국대출판부, 2008

근대일본과 불교, 스에키 후미히코, 이태용 권서용 옮김, 그린비, 2009 

인도철학과 불교, 권오민, 민족사, 2004

불교철학의 역사, D. J. 칼루파하나, 김종욱 옮김, 운주사, 2008

붓다는 무엇을 말했나, D. J. 칼루파하나, 나성 옮김, 한길사, 2011

 

​중관과 유식을 붙잡으며 틈틈이 읽은 책들이다. 늦기 전에 간단한 소감이라도 적어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