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옮김 / 사계절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중세사를 읽다가 아일린 파워Eileen Power)의 《중세 사람들》1924을 만났다. 이 책은 사회사의 입장에서 중세 인물 여섯 명의 생애를 사료를 동원하여 복원하고 있는데, 그 중 베네치아 사람 마르코 폴로가 무려 50 쪽에 걸쳐 소개되고 있다. 단숨에 읽었다. 오래 전 몽골 제국사 관련 책들을 읽다가 던져두었던 《동방견문록》을 다시 손에 잡을 때가 된 것 같다.

당시 지중해의 도시 베네치아는 동양과 서양의 중간에 위치한 중세 해상교역의 요충지 아드리아해의 정점에 있었다. 이 항구도시는 이탈리아 반도의 북쪽에 치우쳐 있으며 유럽의 심장부에 가까웠기 때문에 육해 양로의 짐말과 선박이 모두 집결했다. 이 지리적 이점을 십분 활용한 베네치아인은 초기의 역사를 통해 동으로는 콘스탄티노플, 서로는 교황과 신성로마제국 황제에 당당하게 맞섰다. 그들은 지신들의 미래가 해상에, 그리고 자신들의 문명에 영향을 주고 자신들의 피에 온기를 불어넣은 동양에 있다는 것을 언제나 자각하고 있었다.

마르코 폴로가 쓴 동방견문록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배경과 ‘팍스 몽골리카’의 시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앞서 유목민의 군사력과 상인들의 상업력의 결합으로 몽골제국이 탄생되고, 세계사 통합에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면, 이 통합으로 이룩한 ‘팍스 몽골리카’와 상인 마르코 폴로의 결합으로 생겨난 동방견문록이 ‘대항해 시대’를 향한 깃발을 올리는데 강렬한 동기와 힘을 보탠 것으로 까지 해석되고 있다. (최윤정, 2011)

덧. 김호동 교수의 역주본 역시 60여 쪽에 걸쳐 이 책에 대한 충실한 해설이 있다.

*

중세의 사람들

아일린 파워 (지은이), 김우영 (옮긴이), 이산, 2007

최윤정, 몽골제국 유산 찾기와 마르코 폴로를 위한 변명, 인문논총65, 2011

최윤정,독자가 명명하고 함께 만들어 낸 고전-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동서인문8, 20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