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의 꿈 인문정신의 탐구 24
곽차섭 지음 / 길(도서출판)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내 애정하는 저자인 곽차섭 교수가 그간의 연구 성과물을 간동그려 두 권의 책으로 묶어냈다. 마키아벨리의 꿈(2020)역사, 라프로쉬망을 꿈꾸다(2022)가 그것이다. 아시다시피 그의 관심 분야는 르네상스기 이탈리아 지성사, 미시문화사 및 미술사이다. 르네상스 이탈리아의 사회와 사상에 초점을 맞춘 지난 30여 년간의 연구에서 마키아벨리는 하나의 중요한 축이었기에, 그는 이 책에 이어 앞으로도 마키아벨리의 새로운 전기 집필을 계획하고 있는 듯하다.

곽 교수는 마키아벨리의 꿈을 고대인의 영광과 위대함에 대한 오마주이며, 동시에 그러한 영광과 위대함이 자신의 시대에도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희망을 표현한 것으로 본다. 관직에서 쫓겨난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쓴 것은 이 책을 메디치가 군주들에게 바쳐 자신을 다시 공직에 천거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였지만, 이 책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어떻게 사는가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는 서로 거리가 먼 것이므로, 행해져야 하는 것을 위해 행해지는 것을 포기하는 사람은 자신의 보존보다는 오히려 파멸을 배우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측면에서 선을 표방하는 사람은 선하지 않은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파멸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주가 스스로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선하지 않을 수 있는 것,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를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것을 배워야만 한다.”(군주론 제15)

그는 여기에서 현실과 당위를 엄격히 구분하면서 현실 그 자체를 정치 행위와 판단의 기초로 삼고 있으며, 이를 통해 흔히 악덕으로 간주되어온 행위들이 정치의 장에서는 오히려 미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신군주의 새로운 행위윤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인간의 본성이 이기적이라는 가정이 깔려 있다.

곽 교수는 마키아벨리 시대의 군주는 현대의 정치 보스이며, 그에게 조언하는 정치 참모는 현대의 마키아벨리로 본다. 이어 군주론이 현대에 던져주는 진정한 의미를, 우리로 하여금 때로는 한 개인으로서 때로는 한 집단으로서 스스로의 이기적 본성을 되돌아보게 함으로써 자국·자민족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한 국가와 민족이 다른 국가·민족들과 공존하고 상생하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라는 점을 깨우쳐주는 데에서 찾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