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는다는 것은 소년이 25년 만에 우리 사회에 던진 질문에 답을 찾는 일이다. 어째서 소년은 우리 눈에 띄지 않았던 것일까. 우리는 수용소와 연관된 모든 이들이 퇴소 후에도 여전히 비가시적 존재로 남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문맥과 행간에서 찾아야 한다. 이제 이 문제는 새로운 아포리아(곤경)여야 한다.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적 성취가 가장 가시적이었던 시기에 소년은 오히려 비가시적인 존재로, 사회적 투명인간으로 지낼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에서 우리가 마주해야 할 물음은 무엇일까. 이 책은 우리 시대, 우리 사회의 어느 거대한 공백에 관해 질문을 던지고 있다."

-전규찬 기획, 한종선 전규찬 박래군 지음, 안영춘, 「발문:소년은 그들과 이어진 벼리이다」, 『살아남은 아이』(이리, 2012)

 

* 책이 나온 것이 2012년이니 벌써 6년이 지났다. 그 사이 이 책의 소년이 던진 질문들은 그 거대한 공백을 어떻게 채웠을까. 어떤 시기를 함께 지나왔으나 수용과 격리로 우리는 상상할 수 없는 거대한 공백. 그리고 몇십 년이 지나 불쑥 내 앞에 나타난 책 속의 소년과 422일째 거리에서 노숙중인 ‘역사의 천사’는 무엇을 통해 바뀌었나. "사람들은 더이상 진실을 알고 싶어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이 진실이기 때문이다."는 명제는 이 역사의 천사 앞에서는 함부로 발설할 수 없는 문장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어떻게 만나야 할까를 고민하는 아침. 우선은 내가 길에서 본 가장 소박한 집, 그 작은집에 대해서, 쓰는 것이 아니라 고백이 될 것이다. 그리고 마흔네 해 동안 바다에서 떠오르는 해를 한번도 본 적 없다는 고백을 받아 적어야겠다. 피하지 않는, 우회하지 않을 용기를. 용기가 절실한 날이다.

 

#살아남은아이

#형제복지원

#작은집

#길위의집하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4-20 14: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돌바람 2019-05-19 12:38   좋아요 0 | URL
이렇게 소식 전할 수 있게 되어서 반가워요. 시간이 한참 지났는데도 알라딘에 들어오니 반가운 분들이 있어서 좋아요. 읽어주실 줄 알았어요. 빈 허공에 띄우는 소식이었는데 어디서든 누구든 만날 수 있는 우연이 좋아서요. 혼자 씩 웃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