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동해안 별신굿, 이균옥(박이정, 1998)

이제 본격적으로 굿놀이판으로 들어가볼 차례다. 무가가 신화에 근접할수록 율문 즉, 계보를 읊고 조상님네를 불러내어 굿을 벌이는 예를 취하는 데 반해 놀이판에서는 질펀한 농담이나 상황에 따른 즉흥 대사들이 무릎을 치게 한다. 물론 사투리의 맛까지 더해지면 급한대로 남의 주머니에 손 넣어 굿비를 내지 않고는 못 배길 정도로 뒷판이 궁금한 묘가 있다. 실제 동해안에서 용왕굿을 본 적이 있는데 책에서처럼 이렇게 재밌지는 않고 뭐랄까 좀 엄숙했다. 경북 울진군 후포면에서는 10년 두리굿을 한다는데 채록된 것이 1995년이니까 한번 보러 가려면 10년은 더 기다려야 하나보다. 그때까지 당주 무당이 있을지 모르겠다. 별신굿은 <중도둑잡이놀이>, <맹인놀이>, <원님놀이>, <탈굿>, <거리굿>으로 이어지는데 <중도둑잡이놀이>는 이렇게 시작한다.

 

악사 : 중아 중아 중아 중아. 울릉도 팽대이(팽이) 중아 제주도 XX 중아./이마빼기 민 신중아 똥구멍에 낀 중아./ 중아 중아 중아 중아 중아. 여봅소. 중아 중아 중아.

 

: . 중이 세사~ 등 넘어 재 넘어 삼율에 대동 안에 우별신 좌별신 드린다 말씀 듣고/ 이렇게 내가 오다 보니, 진장구 소리에 내가 신명이 나가주고 우쭐 벌절 그디 밑이 이래 흔들흔들 한답니다. 이렇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