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탈긑대'니 '탈현대'하는 이야기가 자주 들리는 오늘날까지도 100년전 근대적인 진보주의자들이 요구했던 가장 근본적인 사항들조차 제대로 실현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에르푸르트 강령'의 집필자들이 해결하고자 했던 근대적 자본주의적 사회의 주요모순-여성에 대한 억압, 개인의 인명에 대한 국가의 경시, 제국주의적 전쟁-이 극복되지 않고 오히려 많은 측면에서 첨예화된 현시점에서, '정통 좌파'를 '구시대적인' 것으로 몰아 '장송(葬送)' 할 수 있을까? 100년 전에 정의한 자기 역할조차 제대로 한지 못했다고 해서 '좌파'를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보는 것은, 결국 100년 동안 해결하지 못한 모순들을 미화하고 호도하는 것밖에 안 된다.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차원에서는 물론이고 핵심부 차원에서 조차 '전통' 좌파의 요구사항들이 대부분 관철되지 못한 현실에서 '좌와 우'를 뛰어넘어 '제3의 길'을 모색한다는 것은 위에서 이미 언급한 '현실 순응과 안주' 정도로 취급할 수밖에 없다. 역사의 종말처럼, '전통'좌파의 '역할 고갈'도 아직은 멀고먼 것이다.' pp294~295
'안주와 타협의 지속적인 극복, 부단한 자정작용이야말로 예나 지금이나 좌파의 공통분모다' p288
<<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의 핵심이라 생각되는 부분이다. 박노자씨의 글에서 깊은 통찰과 폭넓은 지식이 빛날 수 있는 것은 위와 같은 관점(세계관이라 표현해도 좋을 것이다)이 역사와 현실을 관통하고 있기에 가능하다고 본다.
선진 혹은 후진 자본주의든 자본주의 모순에 의해 충돌과 발전하고 있다는 것. 북유럽의 복지정책과 그 사람들의 혜안이 실은 극복되지 않은 과제를 앚고 있다는 것. 선진자본주의에 대한 부러움(시기와 질투를 포함하는 것이다)은 그들의 모습을 추종하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있어서 역사발전의 진보적인 면을 신중히 골라 배우고, 그들의 안주와 타협을 비판해야만(박노자씨는 이것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하는 것. 박노자씨는 반복해서 이 책에서 반복해서 말하고 있다.
소위 '진보주의자'라 자임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읽고, 박노자의 관점에 대해 깊은 고뇌를 해야할것이라 본다. '부단한 자정작용'을 위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