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진실
송승용 지음 / 엘도라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융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진실"은 의외라 간단한 주제를 담은 글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한사람이 수박을 사러 갔다고하자. 수 많은 청과물 상점이 있고 자신이 그냥 고드른
어떤 상점을 갔다고하자.여름이다. 그래서 수박을 사려고한다. 수박을 사러 갔을때
청과물상의 말에 그냥 사는 사람이 있다고하자. 당신일수있다. 또한 수박의 겉 모습뿐만
아니라 두둘겨 보고며 그 향과 소리를 확인하고 수박의 가치를 판단해서 산 사람이있다고
하자. 이 역시 당신일수있다.

즉 몰라서 그냥 알려준데로 사는 사람과 수박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의 결과는 어떤가?
과연 수분이 많고 단 수박일까? 아니면 달지 않아 무같은 수박일까? 어떤 수박이든 이 결과에
대한 책임은 누가 지어야하는가? 그야 수박을 산 사람이다. 사기를 당하지 않았다면말이다.
사기를 당행다고 법에 호소해 본전치기를 했다고 치더라도 선택한 산람의 책임인것이다.
이 책은 수박과 같은 금융상품에 관한 이야기다.
맛난 수박이 될지 맛없는 수박이될지 당신들의 선택이며 피같은 당신들의 돈을 수년간 심지어
수십년간 넣는 상품에 책임을 다할수있는 즉 자신의 선택에 후회나 미련같은 것을 발생하지
않을 그런 선택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대출을 받아보거나 펀드를 가입해본 이들 혹은 보험을 들어본 이들 그런 이들이라면 한번
자신의 재테크에 대해서 한번 평가해보도록하자. 그러 내용의 책이다.

작년 나는 집담보 대출을 받았는데, 그당시의 나의 재정상태와 월 지출을 고려하지 않고
대출상담직원의 권유로 대출조건을 이 책이 제시해주는 방법으로 바꿨다. 모르고내는 대출
이자와 알고 내는 대출이자는 하늘과 땅차이가 있다.
울며 겨자먹기와 내가 찍어 먹는 매콤한 겨자!

재테크로를 한번이라도 생각해본 이들이라면 재테크에 대해서 좀더 진지한 접근을 권유하는
책이며 그래서 금융회사가 말하지 않는 진실(?)을 사실 좀더 섬세한 금융상품 사용자라면
당연한 것이겠지만 상품 지식에 정통한 고객이 되라는 것을 요구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아버지의 가계부
제윤경 지음 / Tb(티비)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재테크를 위한 책이라고 딱집어서 말하기가 그렇다.

왜냐하면 이 책의 핵심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1단계 "인생설계를 하여",  -> 인생전체의 지출과 수입의 아웃라인!

2단계 "미래 목표를 정하고", -> 인생전체에서 매 시기별 계획에 대한 필요한 자금!

3단계 "현재의 소득을 분석한 다음", -> 현재 소득 금액 파악!

4단계 "필요한 저축액을 산출하자." -> 매 시기별 계획에 필요한 자금에 근거한 매달 저축액!

5단계 "그리고 남은 돈의 범위 안에서 지출계획과 지출목표를 정하자" ->남은 돈이니 부족한 돈에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저축액을 늘릴수있는 방향으로 절약 생활!

재테크가 종자돈을 갖고 수익을 올리는 게임이라면 이 책의 내용은 종자돈을 모으기위한 게임에 관해 말하고 있다. 노후와 자녀 교육비와 같은 미래의 지출을 위한  현재의 소득과 소비를 분석하고 철저한 절약을 강조하니 어찌 보면 재테크 관련 서적이라고 말할수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은 저축없는 소득만큼 쓰는 제로 인생이나 마이너스 인생에게는 아주 유용하다고 본다.

돈을 어떻게 쓰는지도 파악되지 못하고 그냥저냥 버는 만큼 쓰고 그것도 모자라서 마이너스 통장이나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를 받는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에 등장하는 네가정의 상황을 자신의 처지와 비교해서 많은 반성을 할수가 있을 것이라 봅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수입과 지출, 돈을 버느냐 쓰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from Being wide~! 2007-10-05 01:51 
    돈을 버는 것 = 수입 돈을 쓰는 것 = 지출 정확한 표현입니다. 투자를 위해 돈을 쓰는것 = 투자? 지출입니다. 하지만, 자신에게 미래에 기회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소비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죠. 수입은 어떻습니까? 고정적이십니까? 아니면, 그렇지 않습니까? 수입이 고정적인 직업 자체를 선호할 정도로 수입이 참 어려운 부분입니다. 수입은 자신의 노력과 시간 그리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중 어떠한 것들과 합쳐서 만들어낸 산물입니다. 그냥 아무 이유도..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한겨레 신문의 추천을 사게되었다.

으흠... 뭐 재테크서적을 한권쯤은 봐야한다는 중압감에 40권의 추천서중에 제일 먼저 구입했던것 같다.

학창시절 왜 재테크 교육을 받지 않았는지 하는 후회감과 종자돈 마련에 관심이 집중된 시기가

뒤섞여서 사게된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이라는 책은 간단하게 말해서 '이거 하면 얼마 벌수있다'라는 식의

단언이 남무하는 책이 아니어서 좋았다.

물론 각 장의 제목이 단언적이기는 하지만 글의 내용은 전혀 그렇지 않다.

인플레와 금리... 복리와 단리의 차이... 보수적 투자원칙등...

재테크에 훌륭한 개념들과 실천 덕목들 그리고 요소들을 잘 정리해놨다.

책을 읽고 난 결론 "절대로 단번에 돈을 벌수있는 길은 없구나~"였다.

이게 재테크 책을 산 결론이니 웃기다고 하겠지만 보수적 종자돈 만들기등 연 수익률에 숨겨진 비밀등은

아주 값진 정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