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전작들을 읽지 않았다. 내 독서 습관 때문이다. 나는 가급적 대중적 흥미위주의 책을 찾아 읽는 것이 구미에 맞지 않아서였는데, 이는 교양을 풍부히하기 보다는 다분히 시간 때우기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기성찰과 깊은 고뇌에 인도하지 않는 독서라는 것은 가벼운 것에 불과하다는 폄하가 있었던 것이다. 독서는 그렇게 가벼운 대상이 될수 없다는 의식. 하지만 베르베르의 <<뇌>>는 나에게 독서의 색다른 면모를 겪게 해주었다. 바로 즐거움이다.
<<뇌>>를 통해서 인간의 '뇌'의 작용에 대해 탐험하게 되었다. 즉 이성의 충추인 뇌를 탐험하게 된것이다. 내가 직접 현미경이나 멕스레이를 들여다 보지 않아도(물론 이런것들이 주어진다고 알수 있는 것도 아니다) 또한 딱딱한 과학 강연에 참석하지 않고서도 뇌를 알수 있도록 하는 즐거움이 주어진것이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능력을 최대로 발휘 할 수 있는 동기를 이 소설에서는 1)고통을 멎게 하는 것 2)두려움에서 벗어나느 것 3)생존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4)안락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5)의무감 6)분노 7)성애 8)습관성 물질 9)개인적 열정 10)종교 11)모험으로 정리하고 있다. 인간 삶의 동기를 대략적으로 정리한 것인데, <<뇌>>는 인가에게 '동기'를 부여하면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최후의 비밀'이라는 인간에게 최대치의 쾌락을 주는 수술이 정신과 환자에게 집중력을 발산하도록 하는 '동기'. <<뇌>>의 결론이 '최후의 비밀'을 이성적으로 조절하지 않아 폐기하듯 열거된 '동기'들 역시 이성적 범주에 머무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합리성과 그 맥을 같이하는데, <<뇌>>는 인간의 동기유발이 이성적 합목적성을 전제함을 일깨워준다. 마치 뇌가 이성의 총괄체이듯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