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세석평전 > 거실을 서재로
우리집에서 가장 넓고 가장 밝고 또 온 가족이 가장 잘 모일 수 있는 공간인 거실을 서재로 만들었습니다. 물론 방 한구석으로 TV는 치우고, 좌탁을 2개 놓아두었습니다. 언제든지 책을 꺼내 좌탁 앞에 가져와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물론 거실벽의 공간이 넉넉치는 않아 모든 책을 거실로 끌고 나올 수는 없었습니다. 아이들 방이나 제 방에 책을 약간 남겨두어야 하는 불편도 있었습니다. 다만 아이들이나 우리 부부가 자주 꺼내 읽는 책 위주로 정리를 하여 거실이라는 서재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덕분에 아이들이 1주일에 TV를 1시간도 채 보지 않게된 듯 합니다. 형이 책을 꺼내들면 동생도 책을 꺼내와 옆에 앉는 경향도 있습니다. 큰애는 이제는 아빠 책장에서도 자신이 볼만한 책이 없나 기웃거리곤 합니다.
예전에 어느 학자가 자신의 소양은 어릴적 할아버지 서재에서 싹텄다고 말한 대목이 기억납니다. 아이들의 문화적 소양을 길러주기 위해 부모가 해야 할 것은 아이로 하여금 책을 읽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책을 읽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책을 정리하는 노하루라 할 것은 없지만 적어보면 이렇습니다.
1. 정리를 수시로 합니다 : 어른들 책이야 정리 주기가 길어도 상관없지만, 아이들은 빨리 자라는 관계로 정리 주기를 짧게 가져가야 합니다. 아이들이 자라 읽기에 적당하지 않는 책들은 따로 정리하거나 과감히 다른 집에 줘서 아이들 책장이 항상 '현재 읽을거리' 위주로 채워지도록 합니다. 또한 아이들 관심의 경우는 공룡, 역사, 옛날이야기 등으로 자주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아이들 관심 사항의 책을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두기 위해서도 자주 정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읽은 책은 별도로 표시를 합니다 : 아이들의 경우는 가만히 지켜보면 특별히 좋아하는 책이 있습니다. 그 책만 계속 보려는 경향이 있는 것입니다. 그럴 경우 무리하여 이를 억제시키는 것은 좋지 않지만, 나름대로 지도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따라서 전집의 경우는 읽은 책은 뒤집어 놓도록 합니다. 비디오대여점방식을 차용한 것입니다. 물론 다 뒤집어지면 모래시계처럼 이제는 뒤집어진 책을 읽으며 바로 세워두도록 해나갑니다. 전집이 아닌 경우는 책꽂이에서 읽은 책은 좌측으로 두는 식으로 합니다. 이렇게 골고루 읽도록 하기 위한 표시방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3. 아이들 책과 어른 책을 같은 공간 안에 둡니다 : 위에서 언급한대로 거실이라는 공간을 선택했습니다. 그럴 경우 아이들이 부모의 책에도 관심을 가집니다. 제 관심과 큰애 관심이 같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제가 산 야생화도감이나 새도감 관련 책의 경우는 어느날 보면 아이들 책장에 꽂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는데 부모의 책장이 한 역할을 할 수도 있는거죠. 또 그림이 많은 제 책(예를 들면 동굴에 관한 책)을 아이들이 그림 위주로 보는 경향도 있습니다.
4. 책장을 부부 공동의 공간으로 만듭니다 : 책장을 정리하는 방식은 주제별로 정리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일 것입니다. 우리 역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다만 관심분야의 경우는 정리하는 세목이 늘어나는 정도입니다. 정리하다 보면 부부의 관심사가 다소 틀립니다. 그럴 경우 가장 쉽게 주목을 끌 수 있는 공간인 눈높이 공간에 무엇을 배치하느냐가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집의 경우는 아내가 관심있어 하는 먹거리와 육아서적, 그리고 제가 관심 있어하는 환경분야 등의 책을 나누어 가장 보기 좋은 공간에 배치하고 있습니다. 물론 육아와 환경이 가까이 배치된다는 것이 어색해보일 수도 있지만, 책장이 부부 공동의 공간이라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전혀 어색해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책장이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한 수단이라면, 가족의 책장에는 가족의 개성이 모두 표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