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곡 -상 ㅣ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11
단테 지음, 최현 옮김 / 범우사 / 199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신곡>의 위대함은 <미메시스>에 쓰여진 아우얼 바하의 설명을 듣고 알았다. 신곡에 사용된 문체는 당시 이탈리아의 일상어였으며, 그것으로 숭고한 주제인 지옥,연옥,천국을 다루고 있다. 또한, 지옥이라는 슬픈 출발에서부터 천국이라는 숭고함으로 끝난다.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이 글엔 희곡 Commedia 라는 이름이 붙여졌던 것이다.
고대적 의미에서 숭고한 것으로 간주될 수 없었던, 일상적이고 기괴하고 불쾌한 것을 직접적으로 묘사함에도 불구하고, 단테의 손에 의해 그것들은 숭고함을 획득한다. 지옥,연옥,천국의 물리적 세계상은 또한 도덕적 위치이기도 한데, 그러한 방식으로 도덕적 질서는 물리적 질서와 근원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푸코의 감시와 처벌에서 등장하는 중세형벌의 인과응보적 성격이 지옥편의 묘사에도 그대로 등장한다. 지옥은 현세에서 죄를 범한 자가 그가 범한 죄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처벌을 감내하고 있는 곳이다. 이간질을 한 자는 혓바닥이 뽑혀지고, 이간질로 결합되어있던 사람들을 갈라놓은 죄를 범한 자는 동체와 머리가 잘리우는 형벌을 받는다. 건방지게도 너무나 먼 앞을 내다 보려고 했던 '예언자'들은 목이 뒤틀려 등 뒤쪽으로 돌아가는 형벌을 받으며, 교만했던 사람은 목을 무거운 바위에 의해 짓눌려 고개를 들지 못하게 된다.
지상의 것에만 쏠려있던 눈 곧, 탐욕의 죄를 범한 자의 영혼은 자신의 눈을 땅바닥에 못박히는 벌을 받으며, 포식한 자는 굶주림과 목마름의 고통을 당한다. 교만, 질투, 분노, 태만, 탐욕, 탐식, 음란의 7거지악 Peccatum을 저지른 자들은 그 영혼을 지옥에서 그에 상응하는 형벌로서 보복받는다. 그것이 하느님의 율법이다. '인과응보는 여기 지옥의 철칙'이기 때문이다. 푸코를 읽으면서도 들었던 생각이지만, 이러한 형벌 종류의 다채로움에 비하면, 감금이라는 근대형벌의 단순함은 무미건조하게까지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