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는 오래 지속된다
루이 알튀세르 지음, 권은미 옮김 / 돌베개 / 199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알튀세르를 읽으며 아니 그의 자서전을 읽으며 그가 이야기를 하고 있는 대상은 과연 누구일까를 생각한다. 그는 소위 정신병자이다. 정신병으로 자기 아내를 교살한 그러한 인물이다. 그러한 그가 자기자신에 대한 그래서 그렇게 살수 밖에 없었던 자신에 대한 해명을 하고있다. 그렇다면 해명당하는 대상은 누구고 해명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정신병자인 알튀세르가 정신병자인 자신을 해명하는 것이라면 그건 결코 해명의 구실을 하지 못할 것이다. 그렇다면 정신병자인 알튀세르를 정상인인 그가 해명하고 있는 셈이 되는데, 그렇다면 그는 진정 정신병자가 아니지 않은가!
어쨋든 그는 그의 모든 생을 규정하고 있던 자신의 무의식과 그것으로 인해 드러났던 자신의 이중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존재하고 싶었다. 존재한다는 것은 사유함으로서라기 보다는 사유받음으로서 더 가능한 것이다. 생각되어진다는 것은 그가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 데카르트의 코기토 에르고 섬은 그런 의미에서 중복된 의미를 지닌다. 즉, 나는 나를 사유한다. 곧 나는 나에 의하여 사유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므로 사유받는 내가 존재한다. 그것은 당연히 사유하는 나의 존재를 전제하고 있는셈. 이렇게 되면 그것은 이중적 존재다. 한번의 사유로 두개의 주체가 구성되었다. 그러나 사유받는 주체로서의 나는 사유하는 나만큼의 활성을 능동성을 고정된 것을 변화시키는 능동성을 지니지는 못할 것이다. 사유받는 것은 사유받음 을 통해 규정되기에 그는 사유받는 그 상태로만 존재할 수 박에 없다. (사진이 우리에게 주는 돌이킬수 없음의 그 부담감!) -
그러나 알튀세르를 내가 사유한다는 것은 아니 그가 그러기를 바라고 있는 그의 글은 한편으로는 그를 거부하게도 한다. 유명한 사상가가 일생을 통해 전개한 자신의 논의들과 저작들을 그것의 근거와 이유를 그렇게 논의할 수 밖에 없었던 내적 필연성을 이야기 한다면 우리가 느끼는 당혹감은 이런 것이다. 마치 어떤 지식의 이데올로기적 의도에 의해 그것의 정당성이 단지 하나의 입장으로 축소되듯이 그가 벌인 수많은 문제점과 논쟁들이 바로 그러한 그의 내적 이유에서 기인한 것이라면 우린 '그''를 이해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의 논의'의 적실성과 정당성을 그 댓가로 치루고서이다. 알튀세르는 이로써 그의 전략을 달성시킨 셈이다. 그의 죽음과 더불어 그의 전 논의를 함께 가지고 가려는 그의 심술. 그를 그토록 도저한 고독속에 남겨두었던 세상에 대해 그가 마지막으로 던지는 복수. - 세상 사람들아, 너희들은 지금의 나를 있게한 나의 저작들을 읽지만 그것은 결국 너희들이 비난하는 지금의 나의 필연적인 일부분이자,결과이다!
섬뜩! 역시 글은 무언가 남기기 위해서 그리고 무언가 보이기 위해서 쓰는 것. 글쓰기는 날 보존하는 그래서 날 존재케하는 작업이다. 그런데 거기에 대한 포기도 이렇듯 담대할 수 있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