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싫어서 오늘의 젊은 작가 7
장강명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내가 읽은 책을 이야기함에 있어 장강명의 <한국이 싫어서>를 빼놓을 수는 없을 것 같다. '장강명'이라는 작가를 처음 알게 된 소설이기도 하고, 지금 내가 두 발을 딛고 살아가는 한국에 대한 애환을 느낄 수 있었던 소설이기도 한 <한국이 싫어서>는 지금도 생각하면 가슴에 답답함이 느껴진다.


 나는 책의 주인공 계나가 처음 말했던 한국의 전형적인 삶을 살아가는 청년이다. 글쎄, 전형적인 삶을 살아간다고 말하는 것은 조금 옳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나는 적어도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서 꾸준히 시간을 투자하면서 글을 쓰고, 전업 블로거를 꿈꾸며 조금 다른 길을 걷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큰 틀에서 보면, 나는 계나가 말한 전형적인 한국의 삶과 똑같다. 지금도 단지 '외국어 대학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해서 왠지 조금 뭔가 있는 것 같은 지방 대학 복귀를 앞두고 있고, 엄마에게 '행정고시 시험 준비해라.'는 말을 귀에 딱지가 생길 정도로 듣고 있으니까.


 한국에서 평범히 살아가는 많은 청년의 모습을 나는 눈으로 보았다. 솔직히 이런 말을 해서 미안하지만, 나는 그런 삶을 살고 싶지 않다. 지겹도록 매일 술을 마시고, "시발 X 같다."라며 욕하고, 대학 시험 공부하고, 연애하고, 헤어지고, 취업 준비하고… 그런 삶에 과연 즐거움이라는 게 있기는 할까?


 모두 애써 웃으면서 시간을 보내고, 나중에 잘 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며 변명하지만, 나는 그런 길을 걷게 되면 불행해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어디까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한국이 싫어서> 소설에는 그런 나와 같은 세대의 모습과 시대에 저항하지 못하는 사람의 모습을 읽을 수 있었다.


 나는 호주로 떠나지 않을 것이다. 굳이 내가 한국을 떠나서 호주로 갈 이유는 없다. 한국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편견에 시달리긴 하겠지만, 그래도 블로그를 통해 글을 쓰면서 활동 분야를 넓히는 것이 넘사벽을 가진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해외로 간다면, 나는 일본으로 갈 생각이다.


 지진, 방사능. 그런 위험이 초래하는 나라 일본은 위험한 선택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 말하자면 한국도 마찬가지이지 않을까? 언제 북한과 갈등이 빚어져 전시 상태가 될지도 모르고, 청년에 대한 지원을 끊기면서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이곳에서는 사람 대우를 받는 게 하늘의 별 따기다.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사람들은 잘 산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지옥, 말 그대로 헬조선이 될 수밖에 없다. 일본에 건너가더라도 힘들겠지만, 적어도 한국만큼 최저임금이 보상이 되지 않는 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무엇보다 한국의 연고주의가 없고, 글을 쓰는 일은 더 자유로울 것이다.


 그래서 나는 만약 한국이 싫어서 떠난다면, 일본으로 가고 싶다. 한국처럼 무리하게 강요하는 회식 문화, 엿이나 먹으라며 가운데 손가락을 들고 싶은 선후배 문화 등 고질적인 연고주의에서 벗어나 훌훌 털어버리고 살고 싶다. 소설 <한국이 싫어서>는 이런 답답함을 좀 더, 깊이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한국이 싫어서>를 읽고, 장강명의 다른 소설 <표백>도 찾아서 읽어보았다. 그리고 최근에는 <댓글부대>를 읽었다. 그의 이야기는 강하다. 그리고 마음이 움직인다. 올해 내가 읽은 책, 그리고 책의 저자를 이야기함에 있어 장강명과 <한국이 싫어서>를 빼놓을 수 없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 글을 어설프게 적으면서 다시 고민해본다. 나는 정말 한국이 싫어서 떠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