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톤 다이어리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캐롤 쉴즈 지음, 한기찬 옮김 / 비채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앞 부분에 가계도가 그려져 있다. 백년의 고독을 읽었을 때의 기억이 두려움으로 되살아났다.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떠올리는데 에너지를 다 써버려서 정작 스토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기억이.

다행히 스톤 다이어리는 백년의 고독만큼 복잡하지 않았다. 주인공 데이지가 태어난 순간부터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까지의 일대기를 약 10년 씩 단위로 그려나가고 있다.

데이지의 탄생 장면은 영화 향수의 주인공 장 바티스트 그로누이를 생각나게 했다. 축복받지 못한 외로운 탄생.

머시는 데이지를 낳자마자 세상을 떠났다. (머시를 데이지의 엄마라고 하지말고, 그녀의 이름으로 불러야만할 것 같다. 소설을 읽고나면 이 느낌을 알 것이다.) 뱃속에 있을 때조차 아무도 그녀가 세상에 나올 것이라는 걸 알지 못했다. 심지어 엄마인 머시조차도.

그래서인지 데이지의 인생은 외로움과 고독으로 점철돼 있다. 데이지를 둘러싼 그녀의 가족, 이웃의 삶도 크게 다르지가 않다. 어쩌면 이게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살게 될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몰스킨에 옮겨 적었던 몇몇 구절.


​" 시인은 시가 끝나는 때를 어떻게 아는 것일까? 더는 더할 것도 없을 만큼 단정하게 호흡을 멈추는 순간이 오기 때문일까? 여자는 결혼생활이 끝장난 때를 어떻게 아는 것일까? 삶이 어느날 갑자기 과거와 미래 두 조각으로 잘려나갈 때일까. 흔히 전쟁은 행복이나 휴전이나 협정으로 종결된다고들 한다. 그러나 실제로 전쟁은 그 자체로 소진되고 더는 아무런 보상도 기대할 수 없는 때, 그리고 문득 천박한 것으로, 커다란 세계가 저지르는 무례한 짓으로 비치기 시작할 때 끝나는 것이다. 일은 시작되고 끝나게 마련이다. 어떤 고요한 장 속에 이르는 순간, 우리는 갑자기 육체가 매끄럽게 기능하는 예층 가능성과 파멸의 욕구 사이의 기록에 놓이게 된다. 그때 우리는 불합리하고 터무니없는 일을 저지른다. 그렇지 않으면 상상도 못했던 어떤 적이 나타나 훼방을 놓게 될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 매니토바의 시골을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행상을 한 에이브 스쿠타리는 이튼 우편 판매에 의해 사업을 잃게 되고 말았다. 누가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고 상상이나 했을까"(109)

"그럼에도 그는 그런 표현들을 중얼거리며 외워보려고 했다. 그래서 만에 하나 아내가 다시 집으로 돌아와 예전의 자리를 차지하기로 마음먹을 경우 써먹을 수 있도록 말이다. 만약 그녀가 그토록 원하는 것이 이런 바보 같은 말들이라면 기꺼이 그 요구에 응해줄 터였다. 펌프에 마중물을 붓듯이, 부드럽고 다정한 표현들을 쏟아부을 터였다:"(146)

"이렇게 고의적으로 왜곡과 생략을 뒤섞어 얘기하면서 그녀가 마음이 편했을지 그렇지 않았을지는 단언하기 어렵지만, 그녀는 그 일에 익숙해 있었다. 그리고 이 세상의 수많은 남녀가 매일 아침 각자의 침대에서 눈을 뜨면서 자신의 삶에서 어떤 실체를 갈망하지만, 결국은 매일매일 자신을 다시 만들어내는 것에 그치고 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3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