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들었을 때는 전쟁 기간 동안 민간인으로서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피해를 다룬 책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이 책은 2차 대전에 저격수, 통신병, 위생병, 군지휘관으로 참전했던 (당시) 소련의 여성병사, 소녀병들의 증언으로 이루어진 한편의 증언집이다.

실제로 2차 대전 당시 참전했던 러시아 여성의 숫자는 백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게 공식적으로 징집 허가를 받은 사람의 숫자인지, 상황에 비추어 가늠하여 추산한 숫자인지는 모르겠으나 전자이든, 후자이든 엄청난 규모인 것 같다. 놀라운 것은 이들 대부분이 어린 소녀들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보다 더 놀라운 것은 국가가 강제로 징집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이 자원하여(이 책에서 증언한 여성들의 거의 대부분), 심지어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없어 징집 대상에서 제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녀들의 사령관, 대장 등을 설득하여 입대하였다는 사실이다.

대체 무엇이 열여섯살 어린 소녀들로 하여금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전쟁터에 나가도록 만든 것일까?

대체 ​무엇이 국가, 스탈린, 공산주의를 적으로부터 지키는 것이 가족, 젊음, 목숨보다 가치있는 것이라고 믿도록 만든 것일까?

그리고 이 책은 국가가 국가로서 전쟁을 잘 수행하는 것만큼이나 전후 수습을 제대로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깨닫게 해준다. 차라리 전쟁터에서 행복했다고 말하는 어떤 참전 여성의 증언이 가슴을 파고든다.

"남자들은 전쟁에 다녀왔기 때문에 승리자요, 영웅이요, 누군가의 약혼자였지만, 우리는 다른 시선을 받아야했지. 완전히 다른 시선. ... 우리는 승리를 빼앗겼어. 우리의 승리를 평범한 여자의 행복과 조금씩 바꾸면서 살아야했다고. 남자들은 승리를 우리와 나누지 않았어."(221)


"사랑은 전쟁터에서 사람에게 유일하게 허락된 개인적인 사건이다. 사랑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공동의 사건일뿐. 죽음까지도. ... 전쟁이 끝나고도 그들은 또 하나의 전쟁을 치러야 했다. 이미 치르고 돌아온 전쟁에서 견줘 결코 가볍지도 않은 또 다른 전쟁."(395)


"나는 지금도 그 사람을 사랑해. 내 기억 속에서 전쟁은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시절이야. 그곳에서 행복했으니까..."(4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