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傳 2 - '인물'로 만나는 또 하나의 역사 한국사傳 2
KBS 한국사傳 제작팀 엮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청에서 8년간의 인질 생활, 현실적 정세 파악 능력과 시대를 읽는 능력이 뛰어났고 누구보다 능동적으로 살아내고자 했기 때문에 자신의 죽음을 앞당긴 셈이 되었던 소현세자빈 강씨.

 

+ 토정 이지함. <토정비결>로 유명한 이지함은 한산 이씨 명문가의 사대부였다. 그가 살았던 16세기 중엽에 땅과 바다의 자원을 개발하고 백성과 공유해야 한다는 획기적인 주장을 펼쳤다. 직접 저잣거리에서 장사를 해 이윤을 남겼고, 그것으로 빈민들을 도왔다. 마포 한강변에 흙집을 짓고 살아 '토정'이라는 호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 대의와 명분보다 진심으로 백성을 먼저 생각한 사대부였던 것 같다.

 

+ 김윤후. 몽골의 2차 침략시 살리타를 사살하고 처인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5차 충주성 전투에서도 몽골과 싸워 승리했다는 사실.

 

+ 왕의 남자 김처선. 사실 2권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이다. 연산군은 김처선을 죽인 후 과거시험에 '처(處)', '선(善)'자를 못쓰게 했다. 실제로 과거 답안에 '처'자를 썼다는 이유로 최종 단계에서 탈락한 사람도 있었다. 이어 연산군은 김처선의 고향인 '전의현' 동네도 없애고, 전의 김씨를 탄압했으며, 연산군을 비방하는 한글 벽보가 붙자 백성들의 한글 사용을 금지시키기도 했다. 조선시대의 내시들은 아내와 자식을 두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내시가 혈혈단신으로서 정치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족을 둘 수 있게 한 정책 때문이었다고 한다.

 

+ 외료지략가인가, 사대주의자인가! 김춘추.

 

+ 임진왜란때 포로로 잡혀갔다가 상인에 팔려 베트남까지 가게 된 최초의 조선인 조완벽.

 

+ 단원 김홍도. 경기도 화성에 있는 용주사에 김홍도가 그린 후불탱화가 있는데, 다른 탱화와는 달리 원근법과 명암법을 사용해 그렸다고 한다. 언제 꼭 가서 보고 싶다.

 

+ 정조는 여러 차례 자객의 위협을 받았는데, 왕을 죽이려고 자객을 궁에 보낸 일은 조선 역사상 처음이라고 한다. 정조 스스로가 무인 군주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던 이유를 알 것 같다.

 

* 삼전도비문을 작성한 백헌 이경석.

 

* 정약용. 다산이 지방관으로 부임해 있으면서 살인사건을 해결해나갔던 과정이 정말 생생하게 담겨있었다. <흠흠신서> 한번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