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중간쯤 읽다가 덮어두었던 책인데, 꺼내 처음부터 다시 읽었다. 교과서와 개론서에 등장하는 박지원과 <열하일기> 속의 박지원은 전혀 다른 동명이인처럼 느껴진다. 물론 <열하일기>를 읽은 것은 아니지만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이 책속의 박지원은 내가 그동안 알고 있던 박지원이 아닌 것 같았다. 내가 갖고 있던 사전지식이라고 해봐야 조선 후기 상공업 중심의 개혁을 주장한 실학자, '호질' '양반전' 등을 통해 양반의 위선과 타락을 비판, 그 손자는 박규수라는 것 정도가 전부이긴 하지만.

 

이 책에서 새롭게 알게 된 표현을 따르자면, 박지원은 정말이지 유목적인, 노마디즘적인 삶을 살았다. '노마디즘'을 검색했더니,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자기를 부정하면서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철학적 개념'이라고 설명이 되어있다. 노론 명문가문에서 태어난 박지원은 권력의 중심을 쫓지 않았다. 한쪽 발은 현실에 깊이 들여놓고 있으면서도 그의 시선과 사고는 주변과 외부를 지향했다. 책에서 동시대를 살았던 박지원과 정약용을 비교한 부분이 있는데, 그 차이가 너무나 선명해 두 사람의 성향과 기질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됐다.

 

* 연암협 골짜기에 은거하면서 배후조종자로 낙인찍힌 연암과 최선봉에서 발본색원을 외치는 다산. 한 사람이 부도, 권세도 없는 50대 문장가라면, 또 한 사람은 생의 하이라이트를 맞이하고 있는 젊은 관료였다. 흥미롭게도 이런 대칭적 배치는 그들의 출신성분의 관점에서 보면 정확히 전도되어 있다. 연암이 집권당파인 노론벌열층의 일원인 반면, 다산은 집권에서 배제된 남인의 일원이다. 그럼에도 연암은 애초부터 과거를 거부하고 권력 외부에서 떠돌며 문체적 실험을 통해 새로운 담론의 장을 열어젖혔고, 그에 반해 다산은 정조의 탕평책에 힘입어 일찌감치 정계에 진출하여 국왕의 총애를 한몸에 받으며 화려한 경력을 쌓는 도중이었다. 한쪽이 권력의 중심부로부터 계속 미끄러져 나간 '분열자'의 행보를 걸었다면, 다산은 주변부에서 계속 중심부를 향해 진입한 '정착민'의 길을 갔던 셈이다.(381)

 

연암 박지원의 '인물성동론'적 인식은 하나의 주장, 주의로써만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그대로 곧 자신의 삶의 방식이기도 했던 것 같다. 그의 여유, 유머, 삶을 대하는 긍정적 태도 같은 것들은 꼭 배우고 싶은 부분이다. <열하일기> 완역본도 읽어 보고, 그에 관한 또 다른 책도 찾아 읽어봐야겠다. 

 

'길은 강과 언덕, 그 사이에 있다.'

 

'사이'는 이것과 저것의 중간이 아니다. 제3의 무엇이다. 강과 언덕 사이, 그 속에 존재하는 무수히 많은 사이, 사이와 사이의 사이들이 하나의 길이라는 것. 정해진 길만 길인 것이 아니라, 내가 걷고 있는 어중간한 그 어디쯤도 역시 길이라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