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울로 코엘료의 최근작인가. 도서관에서 야자 감독하며 읽을 책을 고르다가 가볍게 읽을 수 있을줄 알고 집어든 책이다. 그런데 역시나, 파울로 코엘료의 책은 가볍게 읽히지가 않는다. 그의 책 어디서나 등장하는 공통의 요소, 예를 들어 산티아고 순례길, 마리아 같은 것들이 이 책에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이 책 역시 종교적이다. 인간의 고통이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를 얘기하는 부분에서 특히나 종교적이라고 느꼈다. (성경 공부의 필요성을 또 한번 느낌;; 아는 만큼만 읽히는 것 같다ㅜ)

 

브라질 여자 마리아는 배우를 시켜준다는 거짓말에 속아 제네바에 가게 되고, 고위직 남성을 상대하는 성매매업소에서 일을 한다. 그곳에서 섹스에 대해 다양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여러 남성을 만나게 된다.

 

흑사병 창궐 당시 그것이 신이 인간에게 내린 벌이라고 생각한 중세인들이 자기 몸에 채찍찔을 가해가며 신에 복종하고자 했던 것과 마친가지로 섹스 역시 신에게 가까이 다가가고자 고통까지도 기꺼이 받아들인 인간들의 행위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남성. 마리아는 그를 통해 섹스는 고통이며 그 고통이 인간을 쾌락으로 이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런 생각은 마리아가 어느날 그녀에게서 '순수한 빛'을 발견했다고 한 어느 화가를 만나고부터 바뀌기 시작한다. 육체적 행위가 아니고서도 인간은 오르가즘을 느끼며 사랑을 나눌 수 있다는 것. 즉 섹스의 전제는 상대를 욕망하는 마음이라는 것... 아 제대로 읽은 건지 모르겠다.;;

 

소설을 읽는 내내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굉장히 현실적인 이야기라고 생각하며 읽었는데, 마지막에 마리아와 남자 주인공이 재회하는 부분에서 감동이 확 사라져버렸다. 그런 드라마틱한 요소가 꼭 필요했을까. 에잇..

 

 

- 발췌 -

 

- 우린 삶의 매순간 한 발은 동화 속에, 또 한 발은 나락 속에 담근채 살아가고 있다.

 

- 많은 것을 경헌한 것은 아니지만, 나는 경험을 통해 배웄다. 뭔가에 대해 확실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것을, 모든 것이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물질적인 부나 정신적인 부나 마찬가지다. 내가 종종 겪었던 것처럼, 확실히 자기 것이라고 여겼던 뭔가를 잃은 사람은 결국 깨닫게 된다. 진실로 자신에게 속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사실을. 그리고 나에게 속한 것이 아무 것도 없다면, 나에게 속하지 않은 것들에 대해 구태여 걱정할 필요가 뭐 있는가. 오늘이 내 존재의 첫날이거나 마지막 날인냥 사는 것이 오히려 낫지 않을까.

 

- 꿈꾸는 것은 아주 편한 일이다. 그 꿈을 이루지 않아도 된다면. 우리는 힘든 순간들을 그렇게 꿈을 꾸면서 넘긴다. 꿈을 실현하는데 따르는 위험과 꿈을 실현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욕구불만 사이에서 망설이며 세월을 보낸다. 그리고 나이가 들면 다른 사람들은, 특히 부모와 배우자와 자식을 탓한다. 우리의 꿈을, 욕망을 실행에 옮기지 못하게 가로막은 죄인으로 삼는 것이다.

 

-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나는 세상의 제물일 수도 있고, 자신의 보물을 찾아 떠난 모험가일 수도 있다. 문제는, 내가 어떤 시선으로 내 삶을 바라볼 것인지에 달려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