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나 카레니나 세트 - 전3권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연진희 옮김 / 민음사 / 2012년 11월
평점 :
"행복한 가정은 모두 모습이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모두 제각각의 불행을 안고 있다." (책 첫 문장)
너무나 평범하고 일상적인 단어들의 조합인데, 이 문장에서 왜자꾸 눈이 떨어지지 않는지 모르겠다.
서로를 귀하게 여기는 사람이 부부로 만나 자기들을 닮은 건강한 아이를 낳고 알콩달콩 살아간다는 게,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들 살고 있어서 별거 아닌 줄 알았는데, 막상 나이를 먹고보니, 그것 만큼 대단한 일이 없고, 그렇게 살 수 있다는 게 얼마나 감사드려야 할 일인지 새삼 느끼고 있다.
안나가 모스크바에서 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오는 기차에서 브론스키와 미묘한 감정을 확인한 후, 배웅을 나온 남편을 처음 보자 "저 사람의 귀는 왜 저 모양으로 생긴 거지"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톨스토이의 위대함을 느꼈다. 사람을 좋하는데 딱히 이유가 없고, 사람을 미워하는데 아주 하찮은 사소한 것들이 이유가 되는.. 그런 감정을 이렇게 표현해내다니. 나한테도 귀가 못생겼다, 발가락이 못생겼다 등 이유가 같지 않은 이유로 사람을 미워하게 되는 날이 올까.
민음사에서 안나 카레니나를 총 3권으로 구성했는데, 1권에서 벌써 안나와 브론스키의 관계에 적색신호가 켜졌다. 나머지 2, 3권에서 어쩌려는 거지?
안나의 남편, 알렉세이가 애처롭게 느껴졌던 부분을 발췌했다.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의원일지 모르나, 자기 감정을 이해하고 다스리는데 너무나도 미숙한 알렉세이. 그가 앞으로 안나를 어떻게 대하게 될지, 그게 가장 궁금하다.
"지금도 질투란 수치스러운 감정이고 아내를 믿어야 한다는 신념에는 변함이 없었지만, 그는 자신이 비논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무언가에 직면했음을 느끼고 어찌할 바를 몰랐다.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인생과 대면한 것이다. 그의 아내가 그가 아닌 다른 누군가를 사랑할 수도 있다는 사실과 맞닥뜨린 것이다. 그에겐 이런 것이 무의미하고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보였다. 왜냐하면 이것이 삶 자체였기 때문이다.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는 삶의 반영을 다루는 공무 분야에서 전 생애를 보냈다. 그래서 그는 삶 자체와 부딪칠 때마다 매번 그것을 회피했다. 이제 그는 낭떠러지 위에 놓인 다리를 침착하게 걸어가던 사람이 문득 그 다리는 허물어졌고 그 아래에 깊은 바다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느꼈음 직한 그런 감정을 맛보고 있었다. 이 심해는 삶 자체였으며 다리를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가 살아온 인공적인 삶이었다. 그의 아내가 다른 누군가를 사랑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처음으로 그의 뇌리를 스쳤다. 그는 이러한 의혹 앞에서 전율했다." (311)
"그녀는 오늘따라 유난히 말이 많은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의 모습, 안나를 너무나도 자극하는 그 모습이 그저 그의 내면에 깃든 불안과 초조함의 표현일 뿐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심하게 다친 어린아이가 아픔을 참으려고 펄쩍펄쩍 뛰며 근육을 움직이듯,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에게도 아내에 대한 생각을 떨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정신 운동이 필요했다. 아내와 브론스키가 눈앞에 있고 브론스키의 이름이 끊임없이 들리는 이러한 상황에 내몰리자 그의 신경이 온통 아내에 대한 생각으로 쏠렸기 때문이다. 펄쩍펄쩍 뛰는 것이 아이에게 자연스러운 일이듯, 그에겐 훌륭하고 지적인 말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