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 - 욕망 + 모더니즘 + 제국주의 + 몬스터 + 종교 ㅣ 다섯 가지 힘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홍성민 옮김 / 뜨인돌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수피교도로부터 이슬람세계로 퍼져나간 커피는 16~17세기 동안 유럽에 보급되었지만 그리 쉽게 확산되지는 않았다. 별로 인기가 없었던
커피가 매력적인 음료가 되기까지는 상인들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다. 호화로운 커피하우스를 짓고 커피를 '이성을 각성시키는 음료'라고 광고했다.
커피 재배의 이동 경로는 아프리카를 시작으로 이슬람권 전역에 퍼져나갔다. 그리고 17세기 무렵에는 유럽의 여러 나라가 아메리카 대륙에서
커피를 재배하기 시작했다. 커피재배는 사람 손이 많이 가고 혹독한 노동을 필요로 하는 농업이라 일손을 채우기 위해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들을
데려와 커피 농장에서 일하게 했다.
노예 신분으로 아프리카에서 미국으로 끌려온 흑인의 수는 무려 1,500만 명이나 되었는데, 이후 18세기 미국에서 살아남은 흑인노예의
수는 300만 명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흑인노예의 가혹한 노동으로 만들어진 유럽의 커피는 '니그로의 땀'이라 불렸을 정도입니다. (29)
산업혁명 이후 근대의 유럽인들이 마시는 커피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적도를 따라 이어지는 '커피 벨트' 지역의 사람들이 가혹한 커피
재배에 종사하게 됩니다. 이러한 커피의 생산과 소비의 구도가 커피 재배라는 가혹한 노동에 내몰리는 가난한 사람과 커피를 마셔 각성함으로써 경제를
움직이고 현대사회를 쥐락펴락하는 부유한 사람이라는 '격차'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30)
영국의 영향으로 차 문화권에 속했던 미국이 커피 문화권으로 바뀐 것은 '보스턴 차 사건' 때문이라고 한다. 이 사건 후 비싼 찻잎을
영국으로부터 사들이는 대신 커피를 마시게 되었다는 것이다.
<가톨릭의 느슨함을 잃어버린 프로테스탄트> 부분 역시 인상적이었다.
가톨릭 교회가 지배했던 중세시대는 모두가 일종의 종교적인 병에 가볍게 걸려 있는 상태였습니다. 종교개혁에 의해
탄생한 프로테스탄트의 세계에서는 개인으로서 신과 마주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따라서 개인이 신 앞으로 거칠게 내몰릴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그것은 '금욕'과 세트를 이루기 때문에 그 중압감이란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었습니다.
중세 가톨릭교회는 성에 대해 비교적 관대하고 느슨했다. <중세의 뒷골목 풍경>이라는 책에서도 공공 매춘장소가 있을 정도였다는
설명을 읽은 적이 있다. 하지만 루터가 종교개혁 당시 성직자만 해석할 수 있었던 라틴어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게 되면서 사람들 개개인이 성서를
읽을 수 있게 되었고, 각자가 성서의 무게를 짊어지게 되면서 무한 책임을 갖게 된 것이다.
실제로 가톨릭 교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이탈리나아 스페인의 경우 프로테스탄트 신자가 더 많은 독일이나 영국에 비해 성에 대해 관대한
편이고 자유로워 보인다는 설명이 기억에 남는다.
3장 제국의 야망사, 4장 세계사에 나타난 몬스터들(자본주의, 사회주의, 파시즘이 일으킨 격진), 5장 세계사의 중심에는 언제나 종교가
있었다 부분은 생각보다 별로였는데, 4장에서 사회주의의 실패를 러시아혁명 직후부터 예언한 인물이라고 소개한 막스 베버에 대한 설명은 좀
인상적이었다.
막스 베버는 '관료제화는 자본주의는 물론 사회주의에도 공통적으로 흐르는 역사의 필연이자 숙명'이라고 말했다.
합리화는 관료제적 피라미드라는 거대한 미로로 귀결될 수밖에 없으며, 인간의 자유를 억압해 부자유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비관적인 예측이다. 그러나 이것은 자본주의 고유의 숙명일 뿐만 아니라 사회주의에 의해 더욱 확대되고 심화되는 형태로
나아갈 것이 틀림없다고 베버는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