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타워
에쿠니 가오리 지음, 신유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표지에서 풍기는 느낌도 그렇고, 장르도 그렇고 평소 좋아했던 스타일은 아니다. 요즘 마음이 심란해서 뭔가에 집중하고 싶어 책에 다시 빠져들기 시작했는데, 학교 도서관에서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찾다가 이 책을 집어들게 됐다. 읽기로 한 이유는 딱 두 가지. 어떤 책이든 읽어야 겠다는 마음, 그리고 저자가 <냉정과 열정사이>를 쓴 사람이라는 것. <냉정과 열정사이>는 읽어보지 못했지만 영화로는 본적이 있다. 잘 기억나지는 않지만 잔잔하고 애잔한 느낌의 멜로 영화였던 것 같다.

 

화려하고 번잡한 도심 속 홀로 우뚝 서있는 도쿄타워의 모습을 상상해본다.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그려지진 않지만 쓸쓸함, 외로움, 고독감 같은 것이 느껴진다. 소설 속 주인공들의 사랑도 그렇다. 열렬히 누군가를 사랑하지만(토오루가 사후미를), 그리고 자신의 사랑이 누구를 향하고 있는지도 모른채 여러명의 여자와 만남을 지속하지만(코우지) 그 둘 역시 외롭고 고독해보인다. 사랑받는 사후미도, 코우지를 버린 키미코도, 유리도, 요시다도 모두 외롭고 고독해보인다.

 

열아홉 고등학생인 토오루와 코우지에겐 각자 사랑하는 연인이 있다. 공통점은 그 연인이 모두 연상의 여인이라는 점이다. 정서적으로 감정이입하기 좀 힘들었던 부분이기도 한데, 토오루의 연인 사후미는 엄마의 친구이고 코우지의 연인 키미코는 친구의 엄마이다. 더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토오루의 엄마가 자신의 친구와 아들과의 관계를 알게 됐을때 두 사람의 교제에 대해 왈가왈부하지 않겠다, 는 태도를 보였다는 점이다. 일본에서는 이런 경우가 자연스러운가?

 

사후미는 토오루에게 있어 '스위치'와 같은 존재이다. 오로지 그녀로 인해 토오루의 삶은 기쁨과 행복으로 충만한 빛의 세상이 되었다가 어둠과 절망으로 가득한 어둠의 세상이 되기도 한다. 얼마전에 끝난 내 짧았던 연애의 경험이 계속 떠올랐다. 토오루의 모습이 한때의 나 같다고 생각했다. 전화 연락이 오기 전, 후로 지옥과 천국을 오가는 느낌. 돌이켜 생각해보니 어느 순간부터 그곳에 내가 없었다. 내 기분과 감정이 온전히 내 의지대로 컨트롤 되지 않았다. 아직도 난 정작 그때는 느끼지 못했던 상실감을 뒤늦게 깨닫게 된 덕분으로 이별이 준 허전함 속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좋게 추억하는 부분이 훨씬 많긴 하지만, 여러번 곱씹어 생각해도 그때의 내가 가련하고 애처롭다.

 

"기다린다는 것은 신기한 일이다. .. 기다리는 것은 힘들지만, 기다리지 않는 시간보다 훨씬 행복하다. 사후미와 연결된 시간. 이곳에 사후미는 없지만, 자신이 사후미에게 감싸여 있다고 느낀다. 지배당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115)

 

예전이라면 아무 감흥없었을 문장이 너무나 가슴깊이 와닿았다. 기다리는 것은 힘들지만, 기다리지 않는 시간보다 훨씬 행복하다는 말. 더이상 기대하고 기다릴 것이 없는 시간들을 보내는 것이 얼마나 재미없고 기운빠지는 일인지, 요즘은 좀 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