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깊은 집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5
김원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롭게 '혼자서 읽기'에 도전. 이번엔 김원일이다. <노을>, <바람과 강>, <겨울 골짜기>, <늘 푸른 소나무> 등 아직 읽어보지 않았지만, 왠지 어느 특정 시기의 시대를 읽을 수 있는 작품들인 것 같아서 하나씩 읽어보기로 했다. 도서관에서 방황하다가 우연히 읽게 됐는데, 정말 우연하게도 바로 직전에 읽었던 박완서의 <나목>과 시대 배경이 같았다. 그런데 느낌은 전혀 다르다.

 

두 작품 모두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박완서의 <나목>이 쓸쓸하고 어두운 느낌, 그리고 주인공의 상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반해 이 책 <마당깊은 집>은 왠지 애잔하고 애처롭지만 따뜻한 느낌, 그 과정에서 주인공이 성장하는 모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소설에서 주인공과 엄마의 갈등관계도 공통적으로 등장하는데, <나목>에서는 끝내 화해하지 않지만, <마당깊은 집>에서는 서로 이해하고 화해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205) 나는 일 환 한장 없이 비어 있는 바지 주머니에 두 손을 꽂고 약전골목 쪽이 아닌, 종로통 쪽 어두운 긴 골목길을 천천히 빠져나갔다. 이제부터 나는 부모와 형제가 없는 고아라고 나 자신을 마음으로 매질했다. 한편,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는 대신 나 혼자 살아가야 한다고 나를 격려했다. 이제 어머니, 누나, 아우들도 영원히 찾지 않으리라. 어금이 응덩 물고 결심을 새기자 어느 사이 두 눈에서 눈물이 흘러내렸다. 나는 주먹으로 눈물을 닦았다.

 

(220) 아침 밥상을 받자, 콩나물과 대파건더기 사이에 쇠고기 기름이 동동 뜨는 고깃국이 내 밥그릇 옆에만 놓여 있음을 알았다. 그 뒤로도 그렇다, 그렇지 않다며 변덕이 죽 끓듯 했지만, 그 순간만은 내가 어머니 아들임을 마음 깊이 새겼다. 목이 메어 밥이 잘 넘어가지 않았고, 어머니는 여전히 아무 말씀이 없었다. 나는 가출에 대한 죄갚음이라도 하듯 이틑날 아침부터 이모댁 도끼와 징을 빌려와 부지런히 장작을 패었다. 더러운 세월과 가난에 따른 분풀이라도 하듯 땀을 흘리며 열심히 도끼를 휘둘렀다.

 

주인공이자 화자의 아이스러움이 잘 드러나는 부분인 것 같다.

 

(249) 중년이 된 그런 우리 형제를 길수는 아직도 추운 겨울 밤하늘의 천사로, 아니면 쓸쓸하고도 다스운 등불이 되어 내려다보고 있을까. 그 하늘나라는 추위가 없고 굶주림이 없는 곳인지 알 수 없지만, 길수는 지금도 이 반도 땅 골골 샅샅을 사팔눈으로 살피며 얼굴 모르고 생사조차 알 수 없는 '아뿌지'를 부르며 찾고 있을까. 그 유현한 세계의 사정을 나는 알 수 없으므로 겨울 밤하늘의 별무리 중에 떨어져 제 혼자 숨듯 나타나듯 반짝이는, 유독 추워 보이는 별 하나를 따로 볼 때마다 나는 그 별이 마치 막내 아우이듯 어린 날의 길수를 그려보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